[파이낸셜뉴스] 강남·서초·송파 등 서울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의 43%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빅데이터 전문업체 부동산R114는 3일 서울 아파트 매매시가총액을 구별로 산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강남 3구 아파트의 시가 총액은 744조7264억원으로 전체 서울 아파트 시총인 1732조4993억원의 43.0%를 차지했다. 시총 집계를 시작한 2000년 1월 이후 월간 기준으로 최다 비중이다. 강남구 시총이 312조4805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송파구와 서초구도 각각 221조7572억원, 210조4888억원이었다. 전체 서울 아파트 시총에서 강남 3구 아파트의 비중은 부동산 시장 동향에 따라 오르내렸지만, 2023년 12월까지 40%를 밑돌았다. 그러나 지난해 1월(41.0%) 처음으로 40%선을 넘더니 꾸준히 비중을 늘려갔고 올해 1월 42%대를 기록하더니 다섯 달 만에 43%선까지 올랐다. 비중이 확대된 데는 강남3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서울 전체 가격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체 시총은 지난해 같은 기간(1532조2575억원) 대비 13.1% 상승했다. 이에 반해 강남 3구 아파트 시총은 지난해 6월 632조8505억원이던 것에서 지난달 744조7264억원으로 1년 새 17.7% 치솟았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를 봐도 지난달 23일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은 3.13% 올랐지만, 강남(7.84%), 서초(7.14%), 송파(8.58%)의 누적 상승률은 이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강남권 일대에 계속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고 이 지역 아파트에 '프리미엄'이 덧붙여지면서 전체 시총을 높이고 있다"면서 "신축은 단지 규모가 이전보다 커지는 데다 해당 지역에 집값 하락 요소나 수요 이탈 요인이 없어 비중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2025-07-03 09:35:55[파이낸셜뉴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확대 지정됐던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의 아파트 거래량이 5월 들어 증가하고 있다. 거래 신고기간이 한달 가까이 남았는데도 4월 거래량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6일까지 신고된 5월 서울 아파트 거래는 총 5478건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4월 거래(5368건)보다 많은 것이다. 이달 말까지 신고 기한이 남은 것을 감안하면 최종 거래량은 70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토허제 확대 지정 이후 줄었던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거래는 전월 거래량을 넘어섰다. 강남구의 경우 4월 108건에서 5월 153건으로 늘어났다. 서초(49건→96건), 송파(129건→142건), 용산(38건→44건) 등도 증가했다. 신고가 거래도 계속 나오고 있다. 서초구에서는 반포를 위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서초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도 4월 20억7531만원에서 5월 25억598만원으로 올라갔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84㎡는 지난달 1일 56억5만원에 손바뀜하면서 신고가를 다시 썼다. 토허제 확대 지정 전인 2월 같은 면적이 47억원에 거래된 것에 비하면 10억원 가까이 상승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2025-06-08 13:00:40#. 한강뷰 아파트에 살고 있는 A씨(마포구 망원동·49세·주부)는 큰 고민에 빠졌다. 2021년 8월부터 거주한 6억원대(전용면적 59㎡) 전세계약 만료를 앞두고 집주인이 반전세(보증부월세) 전환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A씨는 "집주인이 현금이 필요하다며 사실상 압박을 준 것"이라며 "거절할 경우 집을 빼야 하는 상황인데 이사가긴 귀찮고, 월세를 내자니 현실적으로 많이 부담스럽다"고 털어놨다. 서울 아파트값이 매월 상승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아파트 월세 주거인들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월세로 수익을 얻으려는 집주인이 많아지면서 임대차 시장 내 반전세와 월세계약이 늘고 월세 금액 또한 커지고 있어서다. 최근에는 더 많은 현금을 받기 위해 보증금을 시세 대비 한참이나 낮은 가격으로 책정한 사례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 평균월세가격은 141만원으로 전월(135만2000원) 대비 4.28%, 전년 동월과 비교해 9.13% 늘었다. 올해 1월(134만3000원)과 2월(134만7000원)에 이어 꾸준히 상승한 결과다. 월세가격 상승세는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강남이 주도했다. 강남지역의 월세 상승률은 6.45%로 강북지역(1.98%)의 3배가 넘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11.73% 증가했다. 이중 강남3구(서초·강남·송파) 평균월세가격은 227만7000원으로 전월보다 9.30% 상승, 전년과 비교해서는 15.34% 가격이 뛰었다. 같은 기간 보증금은 오히려 감소했다. 4월 서울 아파트 평균월세보증금은 1억9456만2000원으로 전월(1억9580만4000원) 대비 0.63% 감소, 전년 동월(1억9634만4000원)보다는 0.90% 감소했다. 강북지역 보증금은 전월 대비 소폭 증가(0.14%)하고 강남지역 평균(-1.10%)과 강남3구(-1.06%) 모두 전월보다 하락했다. 여기에 서울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1년여간 4.6%를 유지하다 지난 3월 4.7%로 올라섰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월세를 더 받는 것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해 각종 세금 부담을 충당할 수 있고, 역전세 리스크도 줄일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건수는 2만5990건으로 전년 동월(2만8499건) 대비 8.80% 줄고, 월세 매물건수는 1만9402건으로 전월 동월(1만6984건) 대비 14.23% 증가했다. 자치구 중에서는 서대문구가 최근 한달간 월세 매물 증가폭(252건→359건, 42.4%)이 가장 컸다. 서대문구 홍제역 인근 B부동산 중개사는 "요즘 돈이 필요한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반전세를 더 선호하고 있다"며 "한 물건의 경우 전용면적 85㎡에 보증금 4억원, 월세 165만원인데 이 정도면 싸게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5-05-28 18:15:59[파이낸셜뉴스] 올해 들어 증가세를 이어가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크게 급감하고 있다. 특히 규제 지역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소재 아파트 거래량은 한 달 새 90% 이상 줄어들었다. 8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최근 1년 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월 3427건에서 2월 6462건, 3월 9675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4월 3191건으로 크게 감소했다. 4월 거래량은 전월 대비 67%, 작년 같은 기간보다 31% 감소한 수치다. 특히 토허구역 재지정 지역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서는 한 달 새 거래가 90% 이상 빠졌다. 서초구는 지난 3월 410건에서 4월 11건으로 전월대비 97% 감소했으며 용산구는 260건에서 11건으로 96%, 강남구는 802건에서 37건으로 95%, 송파구는 865건에서 63건으로 93% 줄었다. 강남 3구와 용산구는 작년 4월 거래량과 비교했을 때도 모두 크게 감소했다. 서초구는 작년 4월 226건에서 올해 4월 11건으로 거래량이 95% 감소했으며, 강남구는 289건에서 37건으로 87%, 용산구는 79건에서 11건으로 86%, 송파구는 357건에서 63건으로 82% 줄었다. 한편 지난 달 대비 서울 전 지역의 거래량이 줄어든 가운데 강남 3구와 용산구에 이어 강동구가 전월대비 69% 감소했으며, 성동구(68%), 동대문구(65%), 동작구∙종로구∙중구(64%), 마포구(63%), 광진구(62%), 영등포구(60%) 순으로 거래량이 하락했다. 이어 노원구(58%), 강서구∙금천구(56%), 성북구(54%), 양천구(53%), 은평구(52%), 관악구(50%), 구로구∙중랑구(48%), 서대문구(47%), 도봉구(39%), 강북구(30%) 순으로 감소했다. 다방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일시적으로 회복세를 보였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재지정 발표와 함께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빠르게 급감한 상황"이라며 "거래 제한이 강화된 지역을 중심으로 관망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거래량이 다시 회복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5-05-08 10:39:29[파이낸셜뉴스] 서울 아파트값이 13주 연속 상승했다. 서울시의 토지허가거래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한 달이 넘었지만 강남3구와 용산구 등 규제 지역을 포함한 23개 자치구 모두 일제히 가격이 올랐다. 세종시는 전주 대비 2배 이상 오르며 전국 시·도 가운데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4주(4월2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하락하며 전주(-0.01%)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은 0.09% 오르며 전주(0.08%) 대비 상승폭이 커졌고, 인천은 하락(-0.01%) 전환, 경기는 0.02% 하락하며 전주(-0.01%)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수도권 기준으로는 0.02%에서 0.01%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재건축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도 호가가 상승하고 상승거래도 체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보합세를 유지한 강북·도봉구를 제외한 모든 자치구에서 아파트값이 올랐다. 규제 이후 강남권 거래절벽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강남구는 대치·압구정동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13%에서 0.19%로, 용산구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13%에서 0.15%로 상승폭이 커졌다. 또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전주(0.18%)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 자치구 중에는 강남구가 상승률 1위(0.19%), 이어 서초구(0.18%)와 송파구(0.18%), 마포구(0.17%), 성동구(0.16%), 양천구(0.14%) 순으로 조사됐다. 토허제 이후 풍선효과 우려 지역으로 지목된 자치구 중에는 마포구(0.14%→0.17%)만 상승폭이 확대됐고, 강동구(0.11%→0.11%)와 광진구(0.09%→0.09%)는 상승폭 유지, 성동구(0.17%→0.16%)와 동작구(0.09%→0.08%)는 상승폭이 축소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 아파트 시장은 현재 공급 불안 심리, 통화량 팽창,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 등이 섞여 수급 불균형이 심한 상황"이라며 "거래는 줄고 가격은 빠지지 않은 횡보 장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지방 아파트는 5대광역시(-0.06%→-0.07%)와 8개도(-0.03%→-0.05%)의 하락폭이 커지면서 전주 -0.04%에서 -0.05%로 하락폭도 확대됐다.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설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린 세종특별자치시는 전주 0.23%에서 0.49%로 상승폭이 커지며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5-05-01 11:12:33강남3구와 용산구 아파트 거래량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한달만에 전년대비 90% 넘게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여파로 매물이 급감하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반면 아파트값은 4주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어 실수요자의 진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이날까지 신고된 강남3구(강남·송파·서초)와 용산구 아파트 매매건수는 총 106건으로 집계됐다. 강남구가 45건, 송파구 44건, 서초구가 10건이었고 용산구도 7건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강남구가 342건, 송파구 433건, 서초구 292건, 용산구가 106건 등 총 1173건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1분의 1 수준으로 거래가 줄었다. 규제 여파로 매매가 까다로워진 데다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서며 매물 자체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송파구 매물건수는 총 511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3%, 서초구는 5561건으로 -22.2%, 용산구는 1569건으로 -14.1%, 강남구는 7215건으로 -5.7%를 기록했다. 매물과 거래가 동시에 줄어들고 있지만 집값은 4주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가격이 오르고 있는 만큼 매도를 미루는 사례가 더 많아지며 정상 수요자들도 매수 기회를 얻기 힘든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의 '4월 3주(4월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강남3구 중 서초·송파구는 매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격 오름폭은 더 커졌다. 서초구 (0.16%→0.18%)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송파구(0.08%→0.18%)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강남구(0.16%→0.13%)와 용산구(0.14%→0.13%)는 상승폭이 둔화됐을뿐 선호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시장에서는 투기 억제를 위해 적용된 토허제가 실수요자의 신규 진입조차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수요자만 거래할 수 있게 한 규제임에도 매물 자체가 희귀해지며 시세에 따라 거래하기 힘들게 됐기 때문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개발지에 한시 적용하던 토허제가 도입된 배경부터 아파트 거래 규제와는 취지가 맞지 않는다"며 "당장은 일부 효과를 발휘하는 것 같더라도 왜곡된 시장가격은 저해 요소가 해소되는 시점에 인근 시세에 맞춰 변동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토허제로 아파트 시장가격을 영원히 억누를 순 없다"고 강조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5-04-29 18:07:14[파이낸셜뉴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사는 9세 이하 아동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남 3구 거주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 건강보험료 청구 건수는 최근 5년간 3배 넘게 늘었다. 2020년 1037건이었던 청구 건수는 2021년 1612건, 2022년 2188건, 2023년 2797건, 2024년 3309건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5년간 총 청구 건수는 1만943건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송파구가 1442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남구 1045건, 서초구 822건으로 집계됐다. 강남 3구의 평균 청구 건수는 서울 25개 자치구 평균(291건)보다 3.8배 많았다. 같은 기간 전국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건보료 청구 건수는 2020년 1만5407건에서 2024년 3만2601건으로 2배 정도 늘었다. 전국적으로 영유아·아동의 정신건강 문제가 늘어나는 가운데 강남이 유독 심각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영어유치원 레벨테스트를 진행하는 '4세 고시' 등 논란이 불거지는 가운데 영유아 사교육 등이 아이들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진 의원실이 서울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남 3구의 영어유치원 수는 59개로 서울 전체의 25%가 집중됐다. 서울 자치구 평균 9.8개 대비 강남 3구(19.7개)는 두 배 이상 많았다. 진 의원은 "신체·정서적 발달이 이뤄져야 하는 시기에 과도한 학습 부담과 경쟁 스트레스로 아이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교육부는 영유아 사교육 실태 전수조사를 비롯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기자
2025-04-26 14:16:14정부와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등에 따른 입주권을 토지거래허가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또 제3자에게 분양권을 전매하는 경우도 토지거래 허가 대상으로 결론 내렸다. 국토교통부는 21일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재지정한 것에 대해 주요 업무처리 기준을 마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준에 따르면 입주권·분양권의 경우 허가 관청이 토지이용계획이 자기 거주 목적에 부합한다고 인정될 경우 토지거래계약이 허가된다. 다만 최초로 주택을 분양받는 분양권의 경우 허가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자기거주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의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이용의무기간은 취득일로부터 2년이다. 다만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종전 부동산이 이미 철거돼 즉시 실거주가 곤란하거나 입주 후 철거로 실거주를 계속하지 못하는 경우, 종전 부동산에서 거주한 기간과 재개발·재건축 등이 완료된 이후 입주해 거주한 기간을 합산해 이용의무기간 이행 여부를 판단한다. 허가 관청은 허가일로부터 4개월을 기준으로 신청인의 토지이용계획서상 입주시기에 대한 허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신청인이 주택 취득 및 입주를 이행하지 못하는 부득이한 사유를 소명하고, 허가 관청이 이를 인정한 경우에는 필요한 범위 내에서 취득 및 입주시기를 유예할 수 있다. 기존 주택 보유자의 신규 주택 취득이 목적인 경우, 신청인은 당해 지역에 거주해야 할 사유 또는 자기 거주용 주택·토지를 추가 취득해야 하는 사유에 대해 소명하고 기존 주택의 처리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최아영 기자
2025-04-21 18:19:57[파이낸셜뉴스] 3월 서울 집값이 매매와 전세, 월세 등 모든 거래에서 상승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지수는 전국(0.01%)과 수도권(0.15%), 서울(0.52%)은 상승한 반면 지방은 0.12% 하락했다. 지난 2월부터 상승폭이 증가한 서울은 3월에는 지난해 9월(0.54%) 이후 두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역·단지별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강남·송파·서초구 등 강남3구 위주로 상승하며 전월(0.18%) 대비 상승폭이 0.36p 확대됐다. 강남구는 압구정·대치·개포동 위주로 2.00%,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1.71%,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1.60%, 강동구는 고덕·암사동 준신축 위주로 0.65%, 양천구는 목·신정동 위주로 0.61% 상승했다. 매매는 서울·수도권에서 재건축 예정단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나 지방은 정비사업 추진 지연, 매물 적체 등이 관측되는 지역이 혼재하는 가운데 전국 상승 전환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세가격지수는 전국(0.03%), 수도권(0.10%), 서울(0.17%)이 상승하고 지방(-0.03%)은 하락했다. 또 월세가격지수는 전국(0.09%), 수도권(0.14%), 서울(0.17%), 지방(0.05%) 모두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전월세는 학군지, 재건축 이주수요 단지 등을 위주로 상승세를 보이나, 외곽지역, 공급 과다 지역에서는 하락세를 보이는 등 전세는 상승 전환, 월세는 상승폭 유지중"이라고 밝혔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2025-04-15 13:48:40"여기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자식들이 돈을 많이 주니까 수중에 재산이 좀 있어요. 그걸 알고 젊은 사기꾼들이 많이 몰려오지. 난데없이 구청 노인복지과를 사칭하거나 자식인 척 결혼식이라고 문자도 보내요. 이런 일이 하도 많으니까 의심부터 하게 되죠." 지난 11일 오전 찾은 서울 강남구 소재 대치경로당 담벼락에는 '보이스피싱 3GO! 의심하고(GO)! 전화끊GO! 확인하GO!'라는 플래카드가 크게 걸려 있었다. '무더위·한파 쉼터'라는 글씨를 보고 안에 들어갔지만 기자를 처음 본 어르신들의 눈에는 경계심과 걱정이 가득했다. 보이스피싱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피해 사례를 취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후에야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가능했다. 경로당 노인회장을 맡고 있는 김모씨(86)는 "아무것도 모르는, 순진한 노인들한테 (젊은 사람들이) 조금만 살갑게 해주면 다 넘어가서 사고가 많이 터졌다"고 한숨을 쉬면서도 "의심해서 미안하다"며 누룽지를 한 움큼 쥐어줬다. 이들의 걱정은 기우가 아니다. 13일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보이스피싱 올해 통계를 살펴보면, 피해액은 지난해 9월 249억원에서 같은 해 12월 610억원으로 3개월 간 2.5배 증가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가 서울 전체의 약 30%로 집계됐다.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금감원이나 검찰청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하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60대 여성은 648명으로, 전년 동기(221명) 대비 3배가량 늘었다는 경찰청 통계도 있다. 최근 강남지역 맘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부모님이 가까운 곳에 거주하시면 보이스피싱을 주의하시라고 신신당부하라"는 취지의 글이 게재되는 등 보이스피싱 경계 기류도 여럿 포착된다. 경로당에서 어르신들의 식사를 담당하고 있는 정모씨(83)는 "노인네들이 연금 모아둔 걸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이) 돈 더 늘려준다고 해서 사기 친다고 하더라"며 "우리 아들도 모르는 전화는 절대 받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고 말했다. 강남 노인들이 쉽게 보이스피싱 타깃이 되는 이유는 '현금 동원력'이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사법대학 교수는 "현금 동원 능력이 몇백만원에 그치는 서민층의 경우 보이스피싱에 성공하더라도 큰 수익을 거두기 쉽지 않다"며 "사기범들은 생활 형편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자금을 본인이 충당하거나 주변인 또는 대출 기관에 빌려 다량의 현금을 동원할 수 있는 소위 '돈 있는 사람'들을 노릴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관건은 '예방 교육'이라는 조언도 나온다. 곽 교수는 "보이스피싱은 계절적 요인 또는 조의금과 부의금이 많이 나가는 시기,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범행 시나리오가 바뀌는 특성이 있다"며 "다양한 범행 수법에 대한 사전 교육과 홍보를 통해 피해 우려가 있는 계층으로 하여금 대응 태세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노인 대상 보이스피싱 우려가 증폭되면서 강남구는 이달 들어 신한은행 강남구청지점과 협약을 맺고, 관내 경로당을 순회하며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교육을 진행하는 등 범죄 대비를 강화하고 있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2025-04-13 18:2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