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광의통화로 대표되는 유동성 증가세가 확대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광의통화(M2, 평잔) 증가율은 전년동월에 비해 6.2% 증가해 상승폭을 키웠다. M2의 전년동월비 증가율은 최근까지 꾸준히 축소됐으나 지난해 하반기 바닥을 찍고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M2 증가율은 작년 4월 6.6%에서 6월 5.9%, 8월 4.6%로 낮아졌다. 9~12월 중 M2 증가율은 4.6~4.7% 수준에 머무르다 올해 1월 5.5%로 증가폭을 키웠다. 이후 2월엔 6%를 넘어선 것이다. 한은은 "M2 증가율은 2015년 10월 이후 민간신용 증가율 축소 등으로 하락세를 지속하다가 지난해 하반기 4% 중후반대를 유지했다"면서 "이후 금년 들어 1월중 5.5%, 2월중 6.2%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M2의 전월비 증가율은 0.5%를 기록해 1월(1.3%) 수준을 밑돌았다. 한은은 "금융상품별로 보면 2년미만 정기예적금(전월비 +11.8조원), 수시입출식 정기예금(+6.0조원)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면서 "경제주체별로 보면 가계(+4.1조원), 기타금융기관(+4.1조원) 등을 중심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 광의유동성 6.8% 증가해 1월과 같은 증가세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은 전년비 6.8% 늘어나 1월 증가율(6.4%)을 웃돌았다. 전월비로는 0.7% 늘어나 1월 증가율(1.0%)을 밑돌았다. 광의유동성(L, 말잔)은 전년비 6.8% 증가해 1월 증가율과 같았다. 전월비로는 0.5% 증가해 1월 증가율(1.0%)을 하회했다. 협의통화(M1, 평잔)는 전년비 8.1% 늘어나 1월 증가율(6.3%)을 상회했다. 전월비 증가율은 0.4%를 기록해 1월 증가율(0.6%)을 밑돌았다. taeminchang@fnnews.com 장태민 기자
2018-04-11 10:21:35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 증가폭이 최근 2년여 사이 작아지고 있다.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신용 증가율이 줄면서 증가율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원계열 기준(전년동월대비) 광의통화(M2, 평잔기준)는 2436조 9947억 원으로 6.2% 증가했다. 전월(5.9%) 보다는 소폭 오른 것이지만 최근 흐름으로 볼 때 대체로 하락세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M2 증가율은 2015년 9월 9.4%에서 12월 7.5%로, 지난해 12월 7.5%에서 지난 3월 6.2%로 큰 틀에서 하락세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을 포함하는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등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통화지표로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하다. 다만 M2의 경우 계절조정 기준(전월대비)으로는 증가세를 보였다. 상품별로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2년미만 정기예적금 등을 중심으로, 경제주체별로는 기타부문 등을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지난 4월 배당금 지급을 앞둔 기업의 단기자금 마련 등의 영향으로 7조 8000억원 늘었다. 가계의 경우 5조원, 기업은 7000억원, 기타부문 5조 4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기타부문은 중앙정부로부터의 교부금 유입 등에 따라 지방정부의 요구불예금, 2년미만 정기예적금이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을 받았다. 지난 3월 중 협의통화(M1, 평잔기준)는 원계열 기준 786조 6260억원, 계절조정 기준 789조 1870억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1.9%, 10.6%이다. july20@fnnews.com 김유진 기자
2017-05-16 10:44:16지난 10월 시중에 풀린 통화량이 2392조원을 기록한 가운데 광의통화 M2(평잔)가 전월대비 0.3% 늘었다. 지난 9월과 비교해 가계와 증권·보험사 등 기타금융기관, 지방정부의 예금 보유량은 늘었지만 기업의 예금 보유량은 소폭 감소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0월 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10월 광의통화는 2392조 1372억 원으로 전월 대비 0.3%(평잔·계절조정계열 기준) 늘었다. 광의통화는 현금을 비롯해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 예금을 포함하는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등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통화지표로 언제든 현금화할 수 있다. 상품별로는 요구불예금과 2년미만 정기예·적금은 전월대비 각각 3조 4000억 원, 7조 5000억 원 늘었고 MMF와 기타통화성금융상품은 각각 2조 7000억 원, 2조 5000억 원 감소했다. 주체별로 보면 우선 기업의 예금 보유량은 부가세 납부, 수입대금 인출 등 계절성 요인으로 전월 대비 0.7% 감소했다. 지방정부를 포함하는 기타부문 예금 보유량의 경우 추경 집행에 따른 교부금 등 요인으로 전월 대비 3.9% 늘었다.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예급취급기관의 결제성예금의 합계인 협의통화는 전월 대비 0.9%(평잔·계절조정계열 기준) 증가한 758조 8987억 원을 기록했다. july20@fnnews.com 김유진 기자
2016-12-14 10:59:59【 베이징=김홍재 특파원】 중국의 유동성 지표인 광의통화(M2) 증가율이 지난 5월 11.8%로 올 들어 처음으로 12%대가 무너지면서 연간 목표인 13%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반면 지난달 신규 위안화 대출은 9855억위안으로 한 달 만에 다시 1조위안 가까이 증가했지만 이 중 부동산 중장기 대출이 53.6%(5281억위안)를 차지해 부동산 판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M2 잔액은 146조7000억위안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11.8% 증가에 그쳤는데 이는 전달에 비해 1.0%포인트 하락한 것이며 시장 전망치(12.5%)를 밑도는 것이다. 올해 M2 증가율을 보면 1월에 14%, 2월 13.3%, 3월 13.4%, 4월 12.8%를 기록한 뒤 지난달 처음으로 11%대로 떨어졌다. 중국 교통은행 금융연구센터는 "지난달 M2 증가율이 하락한 것은 지난해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와 금융기관의 채권투자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면서도 "M2 증가율이 올해 목표치인 13%보다 낮지만 통화시장의 금리가 계속해서 낮고 전체적으로 유동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기저효과 때문에 M2 증가율이 하락하다 오는 9~10월께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5월 신규위안화 대출은 9855억위안으로 전달(5556억위안)에 비해 77% 급증하면서 시장 전망치(7500억위안)를 크게 웃돌았다. 신규 위안화 대출은 1월에 2조5100억위안, 3월에 1조3700억위안 등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4월에 5556억위안으로 급감한 뒤 지난달 다시 1조위안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부동산 중장기 대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부동산 가격 폭등이 신규 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아울러 5월 사회융자총량은 6559억위안으로 시장 전망치(1조위안)를 밑돌았으며 전달(7510억위안)보다 감소했다. 사회융자총량은 은행 대출과 채권 발행 외에 그림자금융 등을 포괄하는 유동성 총량을 나타내는 지표다. hjkim@fnnews.com
2016-06-16 17:12:05광의통화(M2) 증가세가 가계대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3년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자료를 보면 지난 8월 M2는 2031조4000억원(평잔 원계열 기준)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7.6% 늘었다. 이 증가폭은 2010년 10월(7.6%) 이후 3년10개월 만에 가장 큰 것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M2는 6.6%, 기업은 4.0% 늘고 예금취급기관 이외의 기타 금융기관 보유 M2는 22.2% 증가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M2는 주택담보대출에 따른 차입금이 일시적으로 예치된 데 따라 확대됐고 기타금융기관의 경우 증권사 등의 단기자금 운용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김문호 기자
2014-10-14 13:21:55통화 유동성 지표인 광의통화(M2)가 지난해 11월부터 2개월째 증가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본원통화도 늘어 통화승수는 2개월째 하락세를 기록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1월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M2가 전년 동월 대비 4.8% 늘었다. 지난해 11월 4.4% 이후 2개월째 상승세다. 전월비로는 0.5% 증가했다. 한은 금융통계팀 김민우 과장은 "M2가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금전신탁 증가 요인이 커 특이 사항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M2를 본원통화로 나눈 통화승수는 21.45배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22.06배로 깜짝 상승한 이후 2개월 연속 하락세다. 지난해 12월에는 21.52배를 기록한 바 있다. sdpark@fnnews.com 박승덕 기자
2013-03-13 13:34:21[파이낸셜뉴스]지난 8월 시중에 풀린 돈이 7조원 넘게 늘며 통화량이 15개월째 증가했다. 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예대율)을 맞추기 위한 은행들의 자금 유치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금리 고점 인식에 예치 수요도 늘어나면서 정기예적금에만 11조원이 넘게 쏠린 결과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8월 광의통화(M2, 계절조정계열·평균잔액)는 4062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7조6000억원 증가했다. 전월(0.4%)에 비해 증가폭(0.2%)은 줄었다. M2는 현금통화,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더한 것이다. 주로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넓은 의미의 지표다. M2는 지난해 3월부터 5월까지 1999년 이후 24년 만에 처음으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후 지난해 6월부터 반등해 올해 8월까지 15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8월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6.1%로 전월 증가폭(6.2%)을 하회했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예적금이 11조5000억원, 기타 통화성 상품이 3조8000억원 증가했다. MMF와 금융채는 각각 4조6000억원, 2조5000억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정기예적금은 예대율 관리를 위한 은행들의 자금 유치노력과 금리 고점 인식에 따른 예치 수요가 맞물렸고 기타 통화성 상품의 경우 수출 호조와 증시 변동성 확대에 따른 투자대기성자금 증가 등에 각각 기인해 외화예수금과 종합자산관리계좌(CMA)를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채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단계적 정상화에 대비한 상반기 은행채 선발행, 하반기 금리인하 기대에 따른 발행 이연 등으로 은행채를 중심으로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경제주체별로는 기타금융기관이 정기예적금과 시장형상품을 중심으로 6조3000억원 늘며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어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정기예적금을 중심으로 5조1000억원 늘며 뒤를 이었다. 기타부문과 기업은 각각 2조원, 5000억원 감소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중심으로 단기자금 지표인 M1(1217조8000억원)은 전월대비 0.1% 늘며 증가 전환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8% 증가한 수치다. M1은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해 높은 수익률을 따라 움직이기 쉬운 자금을 뜻한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5517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1% 감소했고 광의유동성은 6970조원으로 전월과 보합세를 기록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10-16 10:23:17올해 하반기 들어 유럽중앙은행에 이어 미국과 중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완화하고 있다. 다른 나라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다시 증가할 전망이다. 경제 상황에 따라 유동성이 늘고 주는 현상이 반복되었다. 2000년대 들어 글로벌 경제는 세 번의 경기침체를 겪었다. 2000년 정보통신혁명 거품의 붕괴,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대봉쇄'가 그들이다. 위기 때마다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과감하게 인하했고 양적완화를 통해 통화 공급을 대폭 늘려 경기를 부양했다. 유동성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가 '마셜 케이'이다.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광의통화(M2)를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값을 마셜케이라 한다. 위기가 오면 예외 없이 마셜케이가 증가했다. 특히 대봉쇄 때는 전례가 없을 정도로 마셜케이가 급증했다. 대표적으로 미국을 들 수 있다. 1999년 말에 0.69였던 마셜케이가 2020년 2·4분기에는 0.89로 2분기 만에 28.8%나 증가했다. 마셜케이 증가에 따라 미국의 채권과 주식 가격이 급등했다. 자산 가격 상승과 더불어 초저금리에 따른 유동성 증가는 소비 증가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GDP의 69%를 차지하는 소비가 증가하면서 2020년 미국 경제성장률이 -2.2%에서 2021년에는 6.1%로 급격하게 올랐다. 그러나 유동성 증가에 따른 경기회복은 동시에 물가상승을 초래했다. 2020년 1.2%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1년에는 8.0%로 1981년(10.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물가상승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과감히 금리를 인하하고 통화 공급을 줄였다. 마셜케이가 2020년 2·4분기 0.89에서 올해 2·4분기에는 0.72로 18.5% 낮아졌다. 이에 따라 물가상승률은 낮아지고 있으나, 소비 중심으로 경기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9월 연준이 '빅컷'(기준금리 0.50%p 인하)을 단행한 이유는 다가올 경기침체를 막아보자는 것이다. 연준의 점도표에 중립금리가 2.9%로 나타나 있는 것처럼, 2026년까지 연준은 금리를 인하할 전망이다. 그렇게 되면 올해 4·4분기부터는 다시 마셜케이가 증가세로 전환할 것이다.1990년 이후 데이터로 분석해 보면 마셜케이와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의 상관계수가 -0.72였고, S&P500과의 상관계수는 0.86이었다. 마셜케이가 증가하면 시장금리는 하락하고 주가지수는 상승했다는 의미이다. 중국 인민은행도 지난 9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지급준비율을 낮추고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2010년 1.78이었던 마셜케이가 2023년 2.32로 증가했다. 2000~2023년 통계로 분석해보면 중국의 마셜케이가 1% 증가하면 상하이종합지수는 1.4% 상승했다. 인민은행의 통화정책 완화 발표 이후 상하이종합지수가 4일 만에 21.4%나 급등했지만, 증가하는 마셜케이를 보면 더 오를 수 있다. 우리나라 마셜케이도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한 단계씩 높아졌다. 1997년 외환위기 전에 0.86(1996년)이었던 마셜케이가 2022년에는 1.64로 증가했다. 그 이후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등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올해 2·4분기에는 1.58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한국은행도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완화에 동참할 전망이다. 2000~2023년 통계로 회귀분석해보면 마셜케이가 1% 증가할 때 코스피(KOSPI)는 2.6% 상승했다. 이를 고려하면 코스피는 10% 이상 저평가 상태에 있다. 앞으로 2년 정도는 글로벌 유동성 증가 시대일 것이다. 금융자산 가운데 채권과 주식 비중을 늘려도 될 것 같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
2024-10-08 18:07:40[파이낸셜뉴스]지난 6월 시중에 풀린 돈이 16조원 넘게 늘며 통화량이 14개월째 증가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단기 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수익증권에만 10조원에 넘게 쏠린 결과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7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7월 광의통화(M2, 계절조정계열·평균잔액)는 4053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6조3000억원 증가했다. 전월(0.6%)에 비해 증가폭(0.4%)은 줄었다. M2는 현금통화,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더한 것이다. 주로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넓은 의미의 지표다. M2는 지난해 3월부터 5월까지 1999년 이후 24년 만에 처음으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후 지난해 6월부터 반등해 올해 7월까지 14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7월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6.2%로 전월 증가폭(6.1%)을 상회했다. 금융상품별로는 수익증권이 10조8000억원, 기타 통화성 상품이 5조8000억원 증가했다. 정기예·적금도 5조3000억원 늘어났다. 반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금융채는 각각 5조9000억원, 3조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은 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기대 강화 등의 영향으로 단기 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큰 폭 증가했고 기타 통화성상품은 외화예수금과 CMA로 자금이 유입되며 증가했다”며 “정기예·적금은 금리 고점 인식 및 은행의 자금유치 노력 등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감소했고 금융채는 통화안정증권 및 은행채가 순상환되며 감소 전환했다”고 덧붙였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정기예·적금을 중심으로 18조9000억원 늘며 가장 크게 증가했고 기타금융기관은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4조3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은 정기예·적금 및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위주로 3조6000억원 증가했다. 기타부문은 정기예·적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기반으로 2조3000억원 감소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이 줄면서 단기자금 지표인 M1(1216조6000억원)은 전월대비 4조원 감소했다. 전월 대비로는 0.3% 감소,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 증가한 수치다. M1은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해 높은 수익률을 따라 움직이기 쉬운 자금을 뜻한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전월보다 9조8000억원 증가했고, 광의유동성은 전월 말보다 1조8000억원 감소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9-13 10:19:56[파이낸셜뉴스]지난 6월 시중에 풀린 돈이 23조원 넘게 늘며 통화량이 13개월째 증가했다. 금리 고점 인식에 투자 대기자금이 정기예금에만 11조원 넘게 쏠린 결과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6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6월 광의통화(M2, 계절조정계열·평균잔액)는 4037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3조5000억원 증가했다. 전월(0.0%)에 비해 증가폭(0.6%)이 늘었다. M2는 현금통화,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더한 것이다. 주로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넓은 의미의 지표다. M2는 지난해 3월부터 5월까지 1999년 이후 24년 만에 처음으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후 지난해 6월부터 반등해 올해 6월까지 13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6월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6.1%로 전월 증가폭(5.9%)을 상회했다. 금융상품별로는 요구불 예금이 4조원, 기타 통화성 상품이 2조8000억원 감소했다. 반면 정기예적금은 11조4000억원 증가했고 수익증권과 MMF도 각각 9조2000억원, 5조1000억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요구불예금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감소했고, 기타통화성 상품은 기업의 수입 결제대금 지급 등으로 외화예수금이 줄면서 감소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기예적금은 금리 고점 인식에 따른 수요 확대 및 은행의 자금유치 노력으로 증가했고, 수익증권은 금리 인하 기대, 국내외 주가 상승 등으로 채권형 및 주식형 펀드의 증가세가 지속됐으며, MMF는 사회보장기구 자금이 유입되며 증가 전환했다”고 덧붙였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정기예·적금을 중심으로 10조6000억원 늘며 가장 크게 증가했고 기타금융기관은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2조3000억원 증가했다. 기타부문은 수익증권을 기반으로 5조6000억원 감소했다. 기업은 기타 통화성 상품을 위주로 5000억원 감소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이 줄면서 단기자금 지표인 M1(1220조5000억원)은 전월대비 1조원 감소했다. 전월 대비로는 0.1% 감소, 전년 동월 대비로는 3.5% 증가한 수치다. M1은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해 높은 수익률을 따라 움직이기 쉬운 자금을 뜻한다. 금융기관 유동성은 전월보다 26조2000억원 증가했고, 광의유동성은 전월 말보다 42조6000억원 증가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8-13 09:5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