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57% 정도만 공적연금을 수령하며, 노인 3명 중 1명 이상은 일을 해야 하는 고령 노동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민연금을 받는 시기마저 늦어지고 있어 소득 공백에 대한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한국 노인 빈곤율 세계 최고 수준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39.3%로 전년에 비해 다소 나아졌지만 OECD 회원국과 비교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20년 자료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 한국 빈곤율은 40.4%이다. 호주(22.6%), 미국(21.6%)이고, 뉴질랜드(16.8%), 영국(13.1%) 등과는 비교하기 어려울 만큼 격차가 크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의 50%(빈곤선) 이하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을 포함해도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미국, 영국, 독일 등 주요 8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소득과 자산으로 진단한 노인 빈곤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에 자산까지 포함하는 연금화 방식으로 보더라도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26.7%로 집계됐다. 독일(10.7%) 미국( 9%) 호주 (7.9%) 이탈리아(7.3%)등에 비해도 높다. 이승희 KDI 정책위원은 "자산을 소득화해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을 계산하면 소득 기준 노인빈곤율에 비해 빈곤율이 다소 낮아지지만 국제적으로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렇다보니 일하는 고령 인구도 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은 36.2%로 전년보다 1.3%포인트 늘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6.1%포인트 상승했다. 93%가 '본인 배우자 부담으로 생활비를 마련한다'고 답한 점을 볼 때 부족한 노후 대비로 노동을 이어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법정 정년을 넘겨 일하는 고령층은 늘었지만 고용의 질은 좀처럼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연합회가 발표한 '정년 60세 법제화, 노동시장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55세 이상 고령 취업자 중 상용직 비중은 35.1%로 15~54세 핵심 근로 연령층의 상용직 비중(65.6%)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대신 55세 이상 고령 취업자 중 임시·일용직 비중(27.7%)과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비중(31.7%)은 전체의 60% 가까이를 차지했다. 대표적인 노후 소득보장체제인 국민연금 개혁 논의는 진통을 겪고 있다. 최근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공개한 재정안정 방안 가운데 보험료율을 15%로 높이고 연금 지급 개시 연령을 68세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최선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정 은퇴시기는 현재 60세지만 주된 일자리 퇴직연령은 지난해 기준 49.3세다. 은퇴 후 국민연금을 받는 기간이 늦어지면 노인 빈곤 우려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정년 연장·기초연금 선별 지원 등 주장도 이렇다 보니 소득 공백을 줄이기 위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화 되기까지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노동계에서는 현재 60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국민연금 수급 개시연령과 법정 정년을 같게 해 소득 공백을 없애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국민연금 수급개시연령은 63세이지만 2033년에는 65세로 연장된다. 반면 기업들은 은퇴 후 비정규직으로 재고용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가 재정 부담을 통해 지원하는 기초연금을 고령층 내에서도 취약 계층에 선별적으로 집중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전체 고령층의 70%가 기초연금을 받지만 지급 기준을 지급보다 낮춰 선별 지원하자는 취지다. 이승희 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고령층을 세대별로 구분해 소득과 자산을 활용한 경제적 상황을 분석한 결과, 세대간 차이가 굉장히 컸고 특히 1940년대생 및 그 이전 출생세대에서 노인빈곤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하기 위해서는 기초연금이 재산을 고려한 소득 인정액 일정 수준 이하인 고령층에게 집중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23-09-30 14:23:35[파이낸셜뉴스] 한국의 노인빈곤율이 30%대로 내려왔지만, 85세 이상 노인에선 오히려 빈곤율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의 ‘노인빈곤 실태 및 원인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1년 49.18%였던 노인빈곤율은 2020년 38.97%로 낮아졌다. 10년 새 10.21%p 하락해 30%대로 내려온 것이다. 같은 기간 빈곤갭(차이) 역시 21.06%에서 12.48%로 8.58%p 줄었다. 노인빈곤율은 노인 인구 중 중위소득의 50%(상대빈곤선) 이하인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빈곤갭은 빈곤선 아래 속한 사람들이 얼마만큼의 소득을 벌어야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를 나타낸 수치로, 하위소득계층의 평균 소득이 낮을수록 빈곤갭이 커진다. 이 같은 빈곤율은 65~74세의 초기 노인 연령대에서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1년 44.59%였던 65~74세 연령대의 노인 빈곤율은 2020년 29.43%로 15.15%p 떨어졌다. 이 연령대의 빈곤갭 역시 같은 기간 17.84%에서 8.45%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빈곤율은 75~84세에서도 58.23%에서 50.34%로 7.90%p 낮아졌지만, 85세 이상 초고령노인에선 48.23%에서 54.31%로 오히려 6.08%p 상승했다. 85세 이상에서도 빈곤갭은 감소했지만 감소폭은 3.16%p(24.16%→21.00%)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작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초고령노인 연령대에서 유독 빈곤율이 증가한 건 빈곤선의 빠른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가처분 소득 수준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빈곤선의 증가보다는 더딘 것이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노동소득이 노인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노동소득의 감소 혹은 증가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며 "노인 가운데서도 연령대별로 빈곤율과 소득수준 격차가 커지고 있는데 베이비부머(1965∼1974년생)가 노인에 진입하면서 노인집단의 이질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에 진입해서도 노동소득의 큰 감소가 없다면 연소노인(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낮은 노인)의 빈곤율 감소가 전체 노인의 빈곤율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2023-01-22 19:22:49정부가 노인의 건강과 소득보장 개선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로 65세 이상 어르신의 건강보험 보장률이 2013년 67.5%에서 2014년 70.6%로 높아졌고 국민연금 지급 증가 및 기초연금 도입 후 노인 상대빈곤율은 2013년 4분기 48%에서 2014년 4분기 44%로 4%p 하락했다고 18일 밝혔다.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로 틀니·임플란트의 비용은 개당 약 140만~180만원에서 약 53만~65만원으로 줄어들었다. 또 올해 7월부터는 만 65세 이상부터 틀니·임플란트의 급여를 적용하는 등 보장성 강화로 진료비 부담은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기초연금 도입 후 2014년 4분기 노인가구의 이전소득이 2013년 4분기 대비 15% 증가(66만→76만원)했다. 이로인해 노인 상대 빈곤율은 48%에서 44%, 절대빈곤율은 34%에서 30%로 각각 4%p 하락했다. 이에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어르신들이 많이 입원하여 있는 '강남구립 행복요양병원'을 방문해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현장을 점검했다. 특히 대표적 노인성 질환인 치매의 정밀검진 중 비급여항목인 신경인지기능 검사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범위 확대와 치매를 효과적으로 치료·관리하는 치매전문병동 운영 등에 대해 향후 일정을 논의했다. 정 장관은 "공립요양병원을 통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치매의 치료 및 요양과 관련된 전문성을 확보하겠다"며 "앞으로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보내실 수 있도록 건강보장정책을 확대하고 의료비 부담 경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2016-05-18 09:50:40▲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 사진=YTN 뉴스 캡처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OECD 회원국의 빈부격차가 사상 최대로 커져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은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 모두에서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 평균(12.6%)을 훨씬 초과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OECD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12년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 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했다. 한국은 2013년 이 비율이 10.1배로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 일본도 약 10배였으며 미국은 19배로 소득 격차가 나타났다. 자산 격차는 소득 격차보다 더 컸다. 2012년 1% 최상위 부유층은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했지만, 하위 40%는 3%만 갖고 있었다. 네티즌들은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소식에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충격이다","한국 노인 빈곤율 1위, 한숨나오네","한국 노인 빈곤율 1위, 돈 많이 벌어야지"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2015-05-22 20:03:26▲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한국의 노인의 빈곤율이 OECD 회원국 1위를 차지해 이목을 끈다. OECD가 2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12년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 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했다. 이는 1980년대 7배, 2000년대 9배에서 꾸준히 격차가 커진 것이다. 한국은 2013년 이 비율이 10.1배로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 일본도 약 10배였으며 미국은 19배로 소득 격차가 컸다. 반면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가 5∼6배로 소득 격차가 작았다. 자산 격차는 소득 격차보다 더 컸다. 2012년 1%의 최상위 부유층은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했지만, 하위 40%는 3%만 갖고 있었다. 한국은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 모두에서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 평균(12.6%)을 훨씬 초과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OECD는 소득 불평등 심화로 1990∼2010년 OECD 19개 회원국의 누적 경제 성장률이 4.7% 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OECD는 소득과 자산 격차 확대 주요 원인으로 시간제와 임시직, 자영업 종사자 증가를 꼽았다. OECD는 1995년부터 2013년까지 회원국에서 만들어진 일자리의 절반이 비슷한 종류였다고 밝혔다. 특히 30세 이하 노동자의 절반가량이 임시직으로 일해 청년층이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평균 15% 적은 등 남녀 간 불평등도 문제로 지적됐다. OECD는 불평등 감소와 경제성장을 위해 양성 평등을 장려하며 직업 교육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부자와 다국적기업이 자기 몫의 세금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OECD 회원국의 불평등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커졌다”면서 “이런 불평등은 중하위 계층의 인적 자원 투자를 어렵게 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회원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전했다. /on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2015-05-22 14:26:32▲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한국의 노인의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가 2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12년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 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했다. 이는 1980년대 7배, 2000년대 9배에서 꾸준히 격차가 커진 것이다. 한국은 2013년 이 비율이 10.1배로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 일본도 약 10배였으며 미국은 19배로 소득 격차가 컸다. 반면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가 5∼6배로 소득 격차가 작았다. 자산 격차는 소득 격차보다 더 컸다. 2012년 1%의 최상위 부유층은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했지만, 하위 40%는 3%만 갖고 있었다. 한국은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 모두에서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 평균(12.6%)을 훨씬 초과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OECD는 소득 불평등 심화로 1990∼2010년 OECD 19개 회원국의 누적 경제 성장률이 4.7% 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OECD는 소득과 자산 격차 확대 주요 원인으로 시간제와 임시직, 자영업 종사자 증가를 꼽았다. OECD는 1995년부터 2013년까지 회원국에서 만들어진 일자리의 절반이 비슷한 종류였다고 밝혔다. 특히 30세 이하 노동자의 절반가량이 임시직으로 일해 청년층이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평균 15% 적은 등 남녀 간 불평등도 문제로 지적됐다. OECD는 불평등 감소와 경제성장을 위해 양성 평등을 장려하며 직업 교육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부자와 다국적기업이 자기 몫의 세금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OECD 회원국의 불평등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커졌다”면서 “이런 불평등은 중하위 계층의 인적 자원 투자를 어렵게 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회원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전했다. /온라인편집부 news@fnnews.com
2015-05-22 12:46:48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사진-게티이미지뱅크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소식이 전해졌다.경제협력개발기구 OECD는 세계 각국의 빈부 격차가 더 심해져 회원국들 내부에서 부의 불평등이 사상 최고치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또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ECD의 발표에 따르면 회원국들의 상위 10% 부자가 하위 10% 빈곤층보다 소득이 9.6배 더 많다며 지난 2000년의 9.1배 보다 빈부 격차가 더 벌어졌다고 밝혔다.또 부의 집중은 소득 수준의 차이보다 더 심해져 하위 40%는 전체 부의 3%를 차지한 반면, 상위 10%가 전체 부의 절반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 상위 10% 부자의 소득이 하위 10% 보다 10.1배로 OECD 평균 9.6배보다 약간 더 높았고 65세 이상 노인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49.6%로 통계에 잡힌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온라인편집부
2015-05-22 11:42:24▲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심이 쏠리고 있다. OECD가 2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12년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 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했다. 이는 1980년대 7배, 2000년대 9배에서 꾸준히 격차가 커진 것이다. 한국은 2013년 이 비율이 10.1배로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 일본도 약 10배였으며 미국은 19배로 소득 격차가 컸다. 반면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가 5∼6배로 소득 격차가 작았다. 자산 격차는 소득 격차보다 더 컸다. 2012년 1%의 최상위 부유층은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했지만, 하위 40%는 3%만 갖고 있었다. 한국은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 모두에서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 평균(12.6%)을 훨씬 초과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OECD는 소득 불평등 심화로 1990∼2010년 OECD 19개 회원국의 누적 경제 성장률이 4.7% 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OECD는 소득과 자산 격차 확대 주요 원인으로 시간제와 임시직, 자영업 종사자 증가를 꼽았다. OECD는 1995년부터 2013년까지 회원국에서 만들어진 일자리의 절반이 비슷한 종류였다고 밝혔다. 특히 30세 이하 노동자의 절반가량이 임시직으로 일해 청년층이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평균 15% 적은 등 남녀 간 불평등도 문제로 지적됐다. OECD는 불평등 감소와 경제성장을 위해 양성 평등을 장려하며 직업 교육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부자와 다국적기업이 자기 몫의 세금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OECD 회원국의 불평등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커졌다”면서 “이런 불평등은 중하위 계층의 인적 자원 투자를 어렵게 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회원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온라인편집부 news@fnnews.com
2015-05-22 10:51:57▲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1위 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OECD가 2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2012년 34개 회원국의 부유층 상위 10% 평균 소득은 빈곤층 하위 10% 평균 소득의 9.6배에 달했다. 이는 1980년대 7배, 2000년대 9배에서 꾸준히 격차가 커진 것이다. 한국은 2013년 이 비율이 10.1배로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 일본도 약 10배였으며 미국은 19배로 소득 격차가 컸다. 반면 덴마크,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과 북유럽 국가가 5∼6배로 소득 격차가 작았다. 자산 격차는 소득 격차보다 더 컸다. 2012년 1%의 최상위 부유층은 전체 자산의 18%를 보유했지만, 하위 40%는 3%만 갖고 있었다. 한국은 17세 이하와 18∼25세, 25∼65세 연령대 모두에서 상대적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 평균(12.6%)을 훨씬 초과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OECD는 소득 불평등 심화로 1990∼2010년 OECD 19개 회원국의 누적 경제 성장률이 4.7% 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OECD는 소득과 자산 격차 확대 주요 원인으로 시간제와 임시직, 자영업 종사자 증가를 꼽았다. OECD는 1995년부터 2013년까지 회원국에서 만들어진 일자리의 절반이 비슷한 종류였다고 밝혔다. 특히 30세 이하 노동자의 절반가량이 임시직으로 일해 청년층이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평균 15% 적은 등 남녀 간 불평등도 문제로 지적됐다. OECD는 불평등 감소와 경제성장을 위해 양성 평등을 장려하며 직업 교육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부자와 다국적기업이 자기 몫의 세금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OECD 회원국의 불평등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커졌다”면서 “이런 불평등은 중하위 계층의 인적 자원 투자를 어렵게 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회원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온라인편집부 news@fnnews.com
2015-05-22 08:17:57국내 노인 빈곤율이 50%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돼 우려를 사고 있다. 21일 임완섭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부연구위원이 보건복지 이슈&포커스 최신호에 발표한 '최근 빈곤 및 불평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노인 빈곤율은 48.0%였다. 이는 '2014 빈곤통계연보'(보사연)와 '가계동향조사'(통계청)를 분석한 결과로 노인 빈곤율은 전체 빈곤율 13.7%보다 3.5배나 높은 것이다. 전체 빈곤율은 2012년 14.0%에서 0.3% 포인트 소폭 하락했지만, 노인 빈곤율은 2012년과 2013년이 같았다. 보고서가 공개한 빈곤율은 가처분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빈곤율이다. 가처분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소득의 50% 이하에 속하는 비율을 뜻한다. 가처분 소득은 연금과 정부지원금 등 공적 이전소득과 조세, 사회보장 분담금 등의 지출을 고려한 소득이다. 인구 유형별로 빈곤율을 살펴봤을 때 노인층과 함께 1인 가구의 빈곤율이 심각한 편이었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47.2%로 전년 48.1%보다는 소폭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았다. 여성 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32.5%를 기록해 3가구 중 1가구꼴로 빈곤 상태에 있었으며 한 부모 가구의 빈곤율 역시 18.5%를 보여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on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2015-01-21 15:5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