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입시 상위권인 서울대·연세대에서도 2025학년도 정시 합격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의대 정원이 1500여 명 늘어나며 최상위권이 입시 결과가 더 높은 의료 계열로 대거 이동한 결과다. 20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자 중 등록을 포기한 수험생은 235명으로 2024학년도(202명)보다 33명(16.3%) 늘었다. 자연계열 등록 포기는 178명으로 전년 164명보다 14명(8.5%) 늘었다. 의대와 중복 합격한 수험생은 대부분 일반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의예과 진학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그간 등록 포기가 없던 서울대 의예과 합격생 1명도 이례적으로 등록을 포기했다. 학과별로 보면 간호대학 16명(전년 16명), 전기정보공학부 12명(전년 8명), 컴퓨터공학부 11명(전년 9명), 화학생물공학부 10명(전년 6명), 첨단융합학부 9명(전년 11명) 등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열 등록 포기도 전년 35명보다 16명(45.7%) 늘어 51명을 기록했다. 인문계에 교차 지원한 자연계 학생들이 의대 합격 시 진학을 포기한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문계열에서는 자유전공학부 11명(전년 6명), 경제학부 7명(전년 6명), 인문계열 6명(6명), 경영대학 5명(전년 3명), 학부대학(광역) 5명 등이 등록을 포기했다. 연세대 의대를 포기한 수험생은 18명으로 전년 12명보다 6명(50%) 늘었다. 서울대 의대·치대·약대와의 중복 합격으로 인한 이탈로 분석된다. 다만 연세대 정시 모집 합격자 전체 가운데 등록 포기 인원은 690명으로 전년 724명보다 34명(4.7%) 줄었다. 자연계열은 전년 436명보다 38명(8.7%) 늘어난 474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인문계열 등록 포기자는 211명으로 전년 262명보다 51명(19.5%) 감소했다. 종로학원은 "2025학년도부터 정시에서 사회탐구 영역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며 "자연계열 학생의 인문계열 교차지원 비율이 적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등록 포기 인원이 발생한 자연계열 학과는 전기전자공학부 93명(전년 83명), 첨단컴퓨팅학부 74명(전년 72명), 시스템반도체공학과 42명(전년 55명), 약학과 31명(전년 30명) 등이다. 인문계열은 경영학과 112명(전년 134명), 경제학부 31명(전년 37명), 상경계열, 정치외교학과 8명(전년 7명), 응용통계학과 6명(전년 28명) 등이 등록을 포기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모집 정원 확대로 서울대 인문·자연 합격선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2026학년도 수험생 입시 예측이 상당히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이 확정되지 않아 혼란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2-20 10:20:08[파이낸셜뉴스] 2025학년도 서울대학교 정시모집 최초합격자 중 124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종로학원은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최초합격자 중 124명이 등록을 포기했고 밝혔다. 이는 전체 모집인원의 8.9%이며, 전년보다 97명(7.1%) 늘어난 수치다. 계열별로 살펴보면 인문계열 등록포기자는 27명으로 지난해(20명)보다 7명 늘었으며, 자연계열 등록포기자는 지난해 76명에서 95명으로 증가했다. 예체능계열에선 지난해(1명)에서 2명으로 늘었다. 학과별로 보면 인문계열에서 전체 26개 학과 중 12개 학과에서 등록포기자가 나왔으며, 자연계열의 경우 44개 학과 중 34개 학과에서 등록 포기가 발생했다. 이례적으로 서울대 의예과에서도 1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처럼 등록포기 인원이 전년보다 많아진 것을 두고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 늘어난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서울대 자연계열 등록포기는 대부분 의대 중복합격으로 추정된다"며 "올해 의대모집정원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서울대 인문계열 등록포기 학생도 상당부분 자연계열 학생 중 인문계열 선발 한의대, 의대, 치대 교차지원으로 중복합격 추정된다"고 진단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2025-02-13 19:22:34[파이낸셜뉴스] 올해 대학에서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선발을 크게 늘리며 일부 대학에서 경쟁률이 100대 1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정시에서도 주요 대학들이 다군에서 무전공을 모집하며 수험생들의 지원 전략도 전년과 달라졌다. 6일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에 따르면 대학 무전공(유형1) 수시 선발은 기존 6개 대학, 7개 모집 단위에서 2025학년도에 15개 대학, 23개 모집 단위로 확대됐다. 정시에서도 6개 대학, 9개 모집 단위에서 실시하던 무전공 선발이 2025학년도에는 16개 대학, 28개 모집 단위로 늘었다. 무전공은 입학 때 전공을 정하지 않고 2학년에 진학할 시기에 전공을 선택하는 제도다. 보건의료나 사범대학 등 일부 전공을 제외한 모든 전공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유형1과 계열이나 단과대학 내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유형2로 나뉜다. 주요 18개 대학의 2025학년도 무전공 유형1 수시(논술전형) 경쟁률을 보면 한양대(서울) 한양인터칼리지학부(자연)에서 164.34대 1로 최대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양인터칼리지학부(인문) 141.13대 1, 경희대 자율전공학부(서울) 111.13대 1 등 모집인원의 100배 이상이 지원한 대학이 생겨났다. 정시에서는 고려대(서울) 학부대학 일반 69.56대 1, 고려대(서울) 학부대학 교과우수 35.06대 1, 서강대 AI기반자유전공학부 22.64대 1, 서강대 인문학기반자유전공학부 21.85대 1, 한양대(서울) 한양인터칼리지학부 21.35대 1 등 20대 1을 초과했다. 특히 정시에서는 올해 다군의 모집단위가 늘어나며 입시 전략에도 영향을 미쳤다. 가군과 나군의 특정 전공 지원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대학들이 무전공을 다군에서 모집하기로 결정해서다. 수험생 선호도가 높은 서울권 주요대학 가운데서는 대학은 건국대, 국민대, 성균관대, 중앙대, 한국외대, 홍익대 등 6곳만이 다군을 모집했다. 올해 정시모집에서는 무전공 모집 단위에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 세종대 등 모집 단위가 추가되며 지원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졌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2-06 13:17:21[파이낸셜뉴스] 부산대학교는 5일 2025학년도 정시모집 합격자 1837명을 확정·발표했다. 당초 공고했던 합격자 발표일 7일보다 발표 일정을 앞당겼다. 정시모집 합격자는 오는 10일 오전 10시부터 부산대 입학 홈페이지에서 등록금고지서를 출력해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등록금을 납부해야 한다. 충원 합격자는 오는 13일부터 19일까지 4차에 걸쳐 발표할 예정이며 등록 일정 등 자세한 사항은 부산대 입학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5-02-05 18:18:01올해 늘어난 의대 정원으로 중복합격이 전년보다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의대 정시모집에서 정원의 1.5배가량 지원자가 합격을 포기했다. 올해는 의대 정원과 지원자가 모두 늘어 중복합격 사례가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종로학원이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의 2024학년도 최종 추가합격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메디컬부문(의대·치대·한의대·약대) 정시모집에서 39개 의대 합격자 중 1711명(정원 대비 145.5%)이 등록을 포기했다. 인하대 의대는 16명 모집에 정원의 17.5배인 279명이 중복합격으로 등록을 포기했다. 고신대 의대도 26명 모집에 176명이 등록을 포기해 정원의 6.8배가 이탈했다. 서울 주요 의대 중 고려대는 47명 모집에 등록포기자가 3명, 울산대는 10명 모집에 1명이 이탈했다. 서울대 의대는 올해와 같이 지난해에도 등록 포기자가 없었다. 의대를 제외한 메디컬 부문에서도 모집 인원의 136.4%인 3367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약대 37곳은 정원의 129.8%인 992명, 한의대 12곳은 180.5%인 435명, 치대 11곳은 79.8%인 229명이 이탈했다. 종로학원은 상위권 대학이나 의대 중복합격자들이 이탈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70%가량이 지방권 대학에서 이탈했다. 지방권 대학 66곳의 이탈 인원은 정원의 158.4%인 2289명에 달했다. 서울권 대학 23곳은 정원의 72.5%인 642명이, 경인권 10곳은 318.2%인 436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약대의 경우 8명을 모집하는 계명대에서 111명이 중복합격으로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정원의 13.9배다. 제주대는 정원의 12.7배인 127명이 이탈했다. 2025학년도 의약학계열 정시 전체 모집인원은 2828명으로 지난해 2477명보다 351명(14.2%) 늘었다. 특히 39개 의대는 정원 확대로 최초 선발인원이 331명 증가했고, 수시 미선발 이월 인원이 46명 늘어 지난해보다 377명 증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5학년도 의학계열 간 중복합격자 수가 늘어나고 등록 포기로 인한 추가합격 인원이 대학에 따라 크게 증가할 수 있다"며 "가장 선호도가 높은 의대 정시 모집 인원이 지난해보다 늘어 치대·약대·한의대에서도 중복합격에 따른 등록포기가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1-30 18:37:04[파이낸셜뉴스] 부산지역 4년제 대학 2025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이 양극화가 두드러진 가운데 동아대 정시모집 경쟁률이 6.00대 1로 최근 17년 중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602명(정원내) 모집에 3613명이 지원, 지원자 수도 최근 6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지난해 글로컬대학 선정(5년간 1000억원 지원)과 함께 이번 2025학년도 신입생 정시모집 인터넷 원서접수 결과 평균 경쟁률 6.00대 1(정원 내)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3일 오후 6시 마감된 전형별로는 △다군 [수능]일반학생 전형이 10.30대 1(66명 모집에 680명 지원)로 가장 높았고 △나군 [실기/실적]일반학생 전형 7.57대 1(37명 모집에 280명 지원) △가군 [수능]일반학생 전형 5.65대 1(240명 모집에 1357명 지원) 등의 경쟁률을 보였다. 최고 지원율을 보인 학과는 [수능]일반학생전형 다군에서 7명 모집에 131명이 지원한(18.71대 1) ‘도시공학과’였다. [수능]일반학생전형 다군의 ‘자유전공학부’가 16.50대 1(4명 모집에 66명 지원)로 뒤를 이었다. 입학관리처 관계자는 “어려운 입시환경 속에서도 대부분 학과가 4대 1 이상 고른 경쟁률을 보인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며 “입학관리처 뿐만 아니라 대학 전체 구성원이 합심해 동아 DAU:M(다움) 인재 등 동아대학교만의 특색 있는 인재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시모집 최초합격자 상위 50%는 4년간 등록금 50%를 지원받는다. 동아대는 매년 신입생 중 우수신입생을 대상으로 동아 DAU:M(다움)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개인별 멘토교수 지정을 통해 학교생활, 진로취업지도, 전공심화 등 비교과 프로그램 커리큘럼으로 역량강화에 힘쓸 계획이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5-01-07 18:43:37[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2025학년도 전국 과학기술원 정시모집 지원자 수가 지난해보다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개 과기원 정시에 4844명이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6743명)보다 1899명(28.2%) 감소한 수치다. 총 60명을 모집하는 4개 과기원 정시의 경쟁률은 평균 80.73대 1을 기록하며 전년도(103.74대 1)보다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과기원별로 살펴보면 카이스트의 감소율이 37.9%로 가장 컸고 광주과학기술원(GIST) -25.2%, 울산과학기술(UNIST)원 -23.0%,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22.7% 순이었다. 지난 2022년 개교한 한국에너지공과대(KENTECH)는 281명이 지원했다. 이는 개교 연도 953명의 3분의 1 수준이다. 4년제 일반대학은 정시 가·나·다 군별로 1회씩 총 3회까지만 지원할 수 있지만 4개 과기원과 한국에너지공과대는 이와 별개로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경쟁률이 일반 대학보다 높게 나타나지만 의대, 약대, 서울대 등 이공계 최상위 대학과의 중복 합격으로 인한 이탈 또한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종로학원은 과기원 지원자 수와 경쟁률이 하락한 배경에 대해 이공계 특수대 지원 기피 현상과 의대 선호 현상이 심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과기원은 정시 지원 횟수 제한이 없지만, 의약학 계열의 최상위권 학생에게는 지원 시점부터 선택지에서 제외되는 양상이고, 상위권 학생의 선호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의대, 최상위권 대학 이공계 학과 중복 합격으로 인해 (이들 대학의) 정시 등록 포기 증가도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2025-01-07 13:47:18[파이낸셜뉴스] 전국 과학기술원의 2025학년도 정시 지원자가 지난해보다 30% 가까이 줄었다. 최상위권 학생들의 의대 지원 쏠림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광주과학기술원(GIST)·울산과학기술원(UN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4곳의 지원자는 4844명을 기록했다. 지난해(6743명)보다 28.2%(1899명) 줄었다. KAIST가 37.9%(814명)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GIST 25.2%(366명), UNIST 23%(387명), DGIST 22.7%(332명) 순이었다. 한국에너지공과대도 지원자가 401명에서 281명으로 29.9% 줄었다. 의대 지원자는 크게 늘었다. 전국 39개 의대 정시모집에는 1만519명이 지원해 지난해보다 29.9%(2421명) 증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상위권 학생들의 과기원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의대나 서울대 이공계 중복합격으로 추가합격 인원도 크게 늘 것"이라고 말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1-07 11:30:51【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대학교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가/나/다군) 경쟁률이 최근 3개년 내 최고인 전체 평균 6.72대 1을 나타냈다. 인천대는 2025학년도 정시모집(가/나/다군) 원서접수 결과 수시 이월 인원 등이 포함된 총 모집인원 917명에 6160명이 지원해 전체 평균 6.7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인천대는 2025학년도 수시모집을 비롯 편입학 전형, 정시모집까지 모든 입학생 모집에서 경쟁률이 상승세를 보였다. 전형별 경쟁률은 정원 내 전형인 일반학생전형의 경우 가군(418명모집) 5.94대 1, 나군(67명 모집) 6.49대 1, 다군(294명모집) 8.12대 1 , 정원 외 특별전형인 기회균형전형(가군 4.85대 1, 다군 8.35대 1), 농어촌학생특별전형(가군 4.68대 1, 다군 7.17대 1), 특성화고출신자전형(가군 7.17대 1, 다군 6.21대 1)이 작년 대비 다소 상승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요 학과 경쟁률은 가군에서는 데이터과학과 14.00대 1로 가장 높았고 독어독문학과(11.33대 1), 역사교육과(10.00대 1), 스포츠과학부(9.18대 1), 사회복지학과(9.00대 1)가 그 뒤를 이었다. 다군에서는 공연예술학과가 58.17대 1로 가장 높았고 경제학과(9.78대 1), 물리학과(9.25대 1), 해양학과(8.71대 1), 정보통신공학과(8.50대 1)가 뒤를 이었다. 서류 제출은 오는 10일 오후 5시까지(우체국 소인분 포함)로 모집요강을 반드시 확인해 제출해야 한다. 2025학년도 정시모집 최초 합격자 발표일은 2월 7일이다. 개별 통보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홈페이지에서 합격 여부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 최초 합격자는 2월 10일 오전 9시부터 12일 오후 3시까지 등록금을 납부해야 한다. 미납 시 자동으로 합격이 취소된다. 충원 합격 발표는 2월 12일~19일까지이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2025-01-06 15:29:36[파이낸셜뉴스] 국립한국해양대학교는 3일 2025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294명 모집에 1731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5.89 대 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형·모집군별 최종 경쟁률은 △일반전형 가군 4.58 대 1, 다군 7.42 대 1 △특성화고교졸업자 특별전형 다군 2.00 대 1 △기회균형선발 특별전형 가군 6.00 대 1, 다군 7.00 대 1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가군 0.67대 1이다. 일반전형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낸 모집군은 다군 인공지능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으로 12.5 대 1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가군 해양공학과 9.29 대 1, 다군 인공지능공학부 지능제어시스템공학전공 9.25 대 1로 뒤를 이었다. 국립한국해양대는 오는 13일 일반전형 체육실기고사(해양스포츠과학과)를 실시할 예정이다. 정시모집 최종합격자는 2월 7일 대학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된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2025-01-03 20:3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