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업무에 전면 적용하며 AI 활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새 정부가 '100조원 AI 전략'을 추진한다고 공언한 만큼 더욱 활발하게 AI 기술개발에 나서는 모습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이날 직원용 AI 업무지원 플랫폼인 '지식챗봇'에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를 전면 적용했다고 밝혔다. 규정, 게시글, 전자결재 문서 등 업무지식 정보를 생성형 AI(H-GPT)가 종합·분석해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등도 생성형 AI 플랫폼을 전면 가동에 들어간 바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부터 수백억원을 투자해 KB금융그룹이 공동으로 개발한 생성형 AI 플랫폼 'KB GenAI 포털'을 지난달 공개했다. GenAI 포털을 통해 생성형 AI관련 최신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활용지식을 공동자산화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외부 생성형 AI 'GPT 모델'을 탑재한 직원용 '생성형 AI 금융지식 질의응답(Q&A) 서비스'를 선보였다. 약 10만건의 은행 업무지식을 GPT모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고, 최신 문서를 매일 업데이트하도록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간 금융권에 불었던 AI 열풍은 이재명 정부가 'AI 3대 강국'을 선언하면서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직원용 생성형 AI 플랫폼부터 AI 은행원 등 AI 도입 속도가 전방위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시중은행뿐만 아니라 인터넷전문은행(인뱅)과 지방은행도 가세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금융권 최초로 생성형 AI를 탑재한 대화형 검색 서비스 'AI 검색'을 내놨다. 출시 2주 만에 13만명이 넘는 가입자를 모으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AI 검색을 시작으로 AI 기반의 서비스를 연말까지 지속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BNK금융은 그룹 차원의 체계적인 AI 도입과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수립에 착수했다. 현재 BNK부산은행와 BNK경남은행이 참여하고, 지주사가 주관는 전담 태스크포스(TF)을 구성해 진행하고 있다. 고객센터에 AI 보이스봇을 도입하거나 그룹 공통 표준 대형언어모델(LLM)의 내부 구축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BNK금융은 크게 △Only Mobile △One Process △Speed & Simple △by AI & All AI라는 4가지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지털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BNK금융 관계자는 "'임직원의 직무 혁신을 통해 고객 중심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디지털 전환에 힘쓰고 있다"며 "각 업무 기능에 최적화된 판독형 AI, 판별형 AI, 생성형 AI를 전통적인 IT 개발 방식과 유연하게 연동·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5-06-17 18:46:24KB금융그룹이 금융권 최초로 '에이전틱(Agentic) AI' 기반의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KB GenAI 포털)'을 오픈했다고 15일 밝혔다. KB금융은 현업 직원 누구나 AI를 직접 활용하고,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 내에서 초급, 중급, 고급 개발환경을 제공한다. IT 개발 경험이 없는 직원도 자신 만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만들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생성형 AI에 기반한 금융서비스 확산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B GenAI 포털은 KB금융지주와 8개 계열사가 협업해 영업 현장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구축됐다. 이에 KB금융 계열사들은 △최신 기술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력 △생성형 AI 기술의 안전한 활용 및 신뢰성 △생성형 AI 기술의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그룹 공동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생성형 AI에서 자율적 판단과 문제 해결이 가능한 에이전틱 AI로 기술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가운데 KB금융은 선제적으로 그룹 공동의 생성형 AI 기술 활용 플랫폼을 구축, AI 중심의 금융혁신 경쟁에서 한 발 앞서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KB금융은 △금융상담, 프라이빗뱅커(PB), 기업금융전담역(RM) 에이전트(KB국민은행) △자산관리·상담지원 에이전트(KB증권) △ 보험 상담 에이전트(KB손해보험) △카드 상담 에이전트(KB국민카드) △보험 에이전트(KB라이프생명) 등을 우선 개발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KB GenAI 포털 오픈과 함께 순차적으로 탑재된다. 자동 생성되는 투자리서치, 시황분석 요약자료, 기업 분석·맞춤형 제안서 등 각 분야별 AI 에이전트를 도입해 KB금융 임직원들은 업무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B금융 관계자는 "전 직원들이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협업자(Co-Agent)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AI 기술에 기반해 그룹 전체의 생산성과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며 "향후 3년 안에 자산관리(WM), 개인금융, 기업금융 등 주요 17개 업무영역에 걸쳐 90여개 에이전트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AI 전략을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로 연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5-15 18:55:26[파이낸셜뉴스] KB금융그룹이 금융권 최초로 ‘에이전틱(Agentic) AI’ 기반의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KB GenAI 포털)'을 오픈했다고 15일 밝혔다. KB금융은 현업 직원 누구나 AI를 직접 활용하고,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 내에서 초급, 중급, 고급 개발환경을 제공한다. IT 개발 경험이 없는 직원도 자신 만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만들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생성형 AI에 기반한 금융서비스 확산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B GenAI 포털은 KB금융지주와 8개 계열사가 협업해 영업 현장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구축됐다. 이에 KB금융 계열사들은 △최신 기술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력 △생성형 AI 기술의 안전한 활용 및 신뢰성 △생성형 AI 기술의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그룹 공동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생성형 AI에서 자율적 판단과 문제 해결이 가능한 에이전틱 AI로 기술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가운데 KB금융은 선제적으로 그룹 공동의 생성형 AI 기술 활용 플랫폼을 구축, AI 중심의 금융혁신 경쟁에서 한 발 앞서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KB금융은 △금융상담, 프라이빗뱅커(PB), 기업금융전담역(RM) 에이전트(KB국민은행) △자산관리·상담지원 에이전트(KB증권) △ 보험 상담 에이전트(KB손해보험) △카드 상담 에이전트(KB국민카드) △보험 에이전트(KB라이프생명) 등을 우선 개발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KB GenAI 포털 오픈과 함께 순차적으로 탑재된다. 자동 생성되는 투자리서치, 시황분석 요약자료, 기업 분석·맞춤형 제안서 등 각 분야별 AI 에이전트를 도입해 KB금융 임직원들은 업무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B금융 관계자는 “전 직원들이 AI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협업자(Co-Agent)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AI 기술에 기반해 그룹 전체의 생산성과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며 “향후 3년 안에 자산관리(WM), 개인금융, 기업금융 등 주요 17개 업무영역에 걸쳐 90여개 에이전트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AI 전략을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로 연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5-15 10:4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