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 세계철강협회장 취임

관련종목▶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 세계철강협회장 취임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이 18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세계철강협회 총회에서 세계철강협회장으로 취임한 뒤 전임 세계철강협회장인 인도 JSW 사쟌 진달 회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코그룹 제공

포스코그룹은 최정우 회장이 18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세계철강협회 총회에서 44대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9일 밝혔다.

최 회장은 세계철강협회 부회장인 인도 JSW 사쟌 진달 회장, 미국 뉴코 레온 토팔리안 사장과 함께 향후 1년간 세계 철강업계를 대표하게 된다. 세계철강협회 회장단은 회장 1명과 부회장 2명, 총 3인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3년이다.

최 회장은 뛰어난 경영성과와 철강산업 최초로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논의하는 HyIS 포럼(Hydrogen Iron & Steel Making Forum)을 성공적으로 주최하는 등 글로벌 리더십을 인정받아 지난해 10월 세계철강협회 회장단에 선임돼 1년간 부회장직을 수행했다. 포스코그룹에서 세계철강협회 회장을 배출한 사례는 김만제(1996~1997), 이구택(2007~2008), 정준양(2013~2014) 전 회장에 이어 네 번째다.

최 회장은 “철강은 친환경 미래소재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전 철강사가 힘을 합쳐 수소환원제철 상용화의 발판을 마련하고 탄소중립·ESG 경영 등 철강업계의 당면 과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포스코는 지난 16일부터 열린 총회 기간 중 세계철강협회가 주관하는 2022년 스틸리어워드에서 △기술혁신 △지속가능성 등 2개 부문을 수상하고 안전보건 우수사례 인증 프로그램에서 채택되는 성과도 올렸다.

스틸리어워드는 2010년부터 매년 세계철강협회 전 회원사를 대상으로 철강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우수철강사에 수여하는 상으로 △저탄소 철강생산 △기술혁신 △지속가능성 △전과정평가 △교육훈련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등 6개 부문으로 나눠 시상한다.

기술혁신 부문에서는 포스코의 스테인리스 광폭재 고속 교류전해산세 기술이 가치를 인정받았다. 교류전기를 활용해 스테인리스 광폭제품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청정하게 하는 산세 공정을 빠른 속도로 진행할 수 있게 한 기술로 포스코가 세계 최초 개발했다.

지속가능성 부문에서는 포스코의 패각 자원화 사례가 상을 받았다.
포스코는 조개껍질의 주 성분이 석회석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해 패각을 가공한 뒤 철광석을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인 소결공정에서 석회석 대신 사용하는데 성공했다.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해 가스 감지 도구인 스마트 세이프티 볼은 안전보건 우수사례로 인증받았다. 스마트 세이프티 볼은 직경 60㎜, 무게 100g으로 산소·일산화탄소·황화수소 등 3가지 가스 검출이 가능하며 밀폐공간 작업이나 정비 전 해당 공간에 투척해 가스 농도 등을 바로 측정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