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제조기업들이 '2050 탄소중립'에 따른 전기사용 증가폭이 현재보다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탄소중립 이행에 '전기의 탈탄소화'가 가장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및 전력 수요'를 조사한 결과, 2050년까지 기업별 탄소중립 이행기간 중 전기 사용 증가율을 연평균 5.9%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2.2%)보다 약 2배 이상 높다.
탄소중립에 따라 전기사용이 증가한다는 이번 조사결과는 국제에너지기구(IEA)전망과 일맥상통한다. IEA는 2023년도 넷제로 보고서는 탄소중립 달성을 가정했을 때 2050년 전기수요가 2022년 대비 2.5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존 공장, 자동차, 난방 등에 쓰인 화석연료를 전기로 바꾸는 기술인 '전기화'가 전기수요를 높이기 때문이다. UN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는 전기화를 탄소중립의 핵심 수단으로 보고 있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탄소중립 이외에 인공지능(AI)·반도체·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의 확산과 보급은 전기수요 증가를 더욱 가파르게 하는 요인"이라며 "전기수요에 맞춰 무탄소에너지 공급량을 충분히 늘리고 합리적 전기소비 유인도 중요한 만큼 에너지 절약과 효율에 대한 지원정책도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발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면 첫 번째 우선 고려 요인은 '가격(66.7%)'으로 나타났다. 이어 △안정적 공급(21.3%) △친환경(7.3%) △사용안전성(4.7%) 순이다.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제품원가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가격경쟁력과 전력품질을 우선고려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드러낸다"고 말했다.
이미 기업들은 유럽연합에서 작년 10월부터 시범운영하고 있는 탄소국경조정제도와 글로벌 ESG 정보 공시 확대 등 탄소중립에 따른 변화를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41.3%는 "이미 직간접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은 아니나 앞으로 받게 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도 50.7%에 달했다. 반면 "전혀 상관없을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8.0%에 그쳤다.
탄소중립에 따른 산업환경변화에 대비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비용상승 부담'이 68.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문인력 부족(40.5%) △방법을 몰라서(39.6%) △변화에 대한 두려움(4.5%)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꼽은 탄소중립 대비를 위한 전력 정책으로는 △중장기 국가에너지정책의 일관성 유지(31.7%) △관련 지원정책 확대(31.3%) △전력가격의 적정성 유지(29.0%) △전력시장 구조 및 요금체계 개선(13.3%) 등으로 나타났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반도체 클러스터,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에 투자중인 기업이 전력을 적기에 받을 수 있도록,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중점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