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고령화 속 심근경색·뇌졸중 '심혈관' 계통 질환 발생 증가

심근경색 10년前 대비 4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고령화 속 심근경색·뇌졸중 '심혈관' 계통 질환 발생 증가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고령화 속에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29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2년 심뇌혈관질환 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심근경색과 뇌졸중 환자 발생은 인구 10만명당 각각 68.2건, 215.7건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증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심장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응급질환으로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근처 뇌 영역이 손상돼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2022년 심근경색증 발생 건수는 10년 전인 2012년(2만3509건)보다 48.7% 늘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한 영향으로, 연령 구조 영향을 배제한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10년간 6.6% 늘었다.

뇌졸중의 경우 2012년보다 발생이 9.8% 늘었는데, 연령표준화 발생률로 보면 2012년 10만 명당 152.7에서 2022년 114.6건으로 25.0% 줄었다. 두 질환 모두 연령대가 높을수록,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의 발생률이 높았다.

2022년 인구 10만 명당 심근경색증 발생률은 80세 이상이 327.5명으로 가장 높았고 70대 213.3명, 60대 132.5명, 50대 79.2명 순이다. 뇌졸중은 80세 이상 10만 명당 1515.7명, 70대 743.2명, 60대 355.7명, 50대 178.6명 등이다.

심근경색증 발생률은 남성(10만 명당 101.6건)이 여성(35.1건)의 2.9배, 뇌졸중 발생률은 남성(242.7건)이 여성(188.9건)의 1.3배다.

발생 후 30일 내에 사망하는 환자 비율인 30일 치명률은 심근경색증이 9.0%, 뇌졸중이 8.2%였고 1년 치명률은 각각 15.8%, 20.1%였다. 심근경색증은 약 6명에 1명, 뇌졸중은 5명 1명꼴로 1년 내 사망한 것이다.

뇌졸중 1년 치명률의 경우 2019년 17.6%에서 2020년 18.3%, 2021년 19.5%, 2022년 20.1%로 3년 연속 증가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20%대에 올라섰다.

여기엔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령 뇌졸중 환자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뇌졸중 1년 치명률은 80세 이상이 36.0%에 달한다. 심근경색증도 80세 이상의 경우 치명률이 36.8%로 치솟았다.

질병청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은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질환"이라며 "신속한 응급의료 체계와 권역별 중증 심뇌혈관질환 관리체계가 확보돼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