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교섭단체 대표연설 나선 권성동
"尹정부, 文정부 대비 경제·안보 성과"
물가·국가부채·부동산·원전·한미동맹 정상화
노동·교육·의료개혁 노력도 언급
'이재명·민주당' 탄핵·특검 남발 등 조명
'이재명'만 18회 언급
"탄핵 29번·특검 23번·예산 테러, 전세계에 이런 야당 없다"
野 "여당 포기 선언문…민생경제는 없고 이재명 죽이기 위해 존재하는 정당"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다시 한번 힘차게 전진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국민의힘이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전 정권 대비 윤석열 정부의 민생경제 성과 우위를 주장하는 한편, 이재명 대표만 18번을 언급하는 등 이른바 '이재명 때리기'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대통령 탄핵정국에서 전 정권의 실책, 민주당과 이 대표의 탄핵·특검 남발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탄핵 찬반 여론전을 환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이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두고 "여당 포기 선언문", "이재명 죽이기"라고 날을 세운 만큼, 2월 임시회에서도 여야 갈등 정국이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文정부 실책, 尹정부서 정상화"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현 정부가 출범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그동안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면서 문재인 정부와 비교해 윤석열 정부가 민생경제를 정상화시켰다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정부 출범 당시 6%까지 올라갔던 물가상승률은 현재 2%대의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시기 국가부채는 400조원 이상 급증했고, 기어이 국가부채 1000조원 시대를 열었다. 이와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정부는 민생을 지원하면서 건전재정을 추진했다. 그 결과 대외신인도를 지켜냈다"고 자평했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서민에게 큰 고통을 주었던 집값 폭등도 안정을 되찾았다. 적절한 주택 공급과 징벌적 과세 완화 정책 덕분"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크게 흔들렸던 한미동맹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완전히 복원됐다"고 열거했다.
이 외에도 권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의료·교육 3대 개혁 노력도 언급했다.
■與 "국정혼란 주범 이재명" 野 "오로지 이재명 죽이기"
권 원내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민주당'과 '이재명'을 각각 44회, 18회 언급하는 등 이 대표 때리기에도 열중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 이후 민주당이 탄핵 29번, 특검법 발의 23번 등 탄핵·특검을 강행한 점 등을 조명했다. 윤 대통령 탄핵 정국 속 탄핵·특검 남발을 '야당의 횡포'로 규정짓고 있는 국민의힘이 이를 부각시켜 여론을 환기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권 원내대표는 "29번의 연쇄 탄핵, 23번의 특검법 발의, 38번의 재의요구권(거부권) 유도, 셀 수도 없는 갑질 청문회 강행, 삭감 예산안 단독 통과, 이 모두가 대한민국 건국 이후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처음 있는 일"이라며 "우리 헌정사에도, 세계 어느 국가에도 이런 야당은 없었다"고 질타했다.
특히 권 원내대표는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국정 혼란의 주범, 국가 위기의 유발자, 헌정질서 파괴자는 바로 민주당 이재명 세력"이라며 "국정 혼란의 목적은 오직 하나, 민주당의 아버지 이재명 대표의 방탄"이라고 날을 세웠다.
민주당은 대표연설에 대해 "이 대표와 민주당에 대한 욕설·비난만 난무했다"며 "오직 궤변, 가짜뉴스, 변명으로 점철된 여당 포기 선언문"이라고 혹평했다.
윤종군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정농단과 내란 사태로 인한 국정 혼란과 민주주의 후퇴, 민생 파탄이라는 본질을 흐리기 위한 궤변과 꼼수"라며 "민생경제는 없고 민주당 죽이기·이재명 죽이기를 위해 존재하는 정당이 국민의힘"이라고 맞받아쳤다.
여야가 이처럼 국정불안 탓을 서로에게 넘기고 있는 가운데, 양측 연설에서 언급된 추가경정예산, 반도체특별법 52시간제 예외 허용 등 서로가 궤를 달리 하는 쟁점 현안 처리도 난항이 예상된다.
jhyuk@fnnews.com 김준혁 최아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