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수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 주요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지원한 디지털성범죄 피해자가 1만 305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4.7% 늘어난 수치다.
10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발표한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는 이같이 집계됐다. 피해자 중 여성은 7428명(72.1%), 남성은 2877명(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2863명, 27.8%)와 20대(5242명, 50.9%)가 전체 피해자의 78.7%인 8105명으로 조사됐다. 사회관계망 서비스(소셜 미디어), 메신저, 익명기반 플랫폼 등을 활발히 이용하는 연령대에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피해 유형별 현황에서는 유포불안이 4358건(25.9%)으로 가장 높았으며, 불법촬영 4182건(24.9%), 유포 2890건(17.2%), 유포협박 2244건(13.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성범죄는 물리적 성폭력과 달리 피해 발생 이전에도 심각한 심리적 불안을 초래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불법촬영, 딥페이크 등은 피해자가 즉시 인지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유포불안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불법촬영물 삭제지원 과정에서 중앙 디성센터가 수집한 2만6318개 사이트 중 국외에 서버를 둔 사이트가 95.4%며, 그 중 미국이 70.4%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중앙 디성센터에 삭제 지원 인력을 충원한 만큼, 신속한 삭제 지원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외 사이트에 대한 대응을 위해 해외 지원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삭제 전용 창구를 구축하는 등 국제 공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피해자에 대한 확실한 보호를 위해 365일 24시간 상담이 가능하도록 중앙 디성센터의 예산과 인력을 확대하고, 통합 누리집 구축 및 신고 창구 개설, 삭제시스템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앞으로도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선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대응 방안을 끊임없이 강구해 피해자 보호·지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