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아내가 돌싱인 척, 싱글카페에 가입 후 불륜을 저질렀다는 남편의 사연이 알려졌다. 1일 방송된 JTBC ‘사건반장’에서 제보자는 운송업을 하는 아내가 자주 집을 비웠다고 전했다. 특히 아내가 집에 오면 휴대폰을 손에 놓지 않고 계속 들여다보기 시작했다고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내가 소파에서 잠이 들어있었고, 이에 제보자는 아내의 휴대폰을 보게 됐다. 이때 제보자는 아내의 휴대전화에서 ‘4050 싱글들 모여라’라는 카페 이름이 있는 것을 봤고, 이것을 들여다 보고자 했으나 아내가 잠에서 깨 확인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아내의 닉네임을 확인했던 제보자는 직접 그 카페에 가입했고, 승인이 나자마자 아내의 닉네임을 검색하며 활동 기록을 찾은 결과, 아내는 40대에 자녀가 없는 돌싱 행세를 하고 있었다. 제보자에 따르면 아내는 이 카페에서 번개 모임 즉, 즉석 모임에 자주 참석하며 많게는 일주일에 5번씩 나가 낯선 남성을 만나고 다닌 것으로 파악됐다. 또 아내는 일부러 차 있는 남성들과 만나 강릉, 목포 등 전국을 돌며 데이트를 즐겼다. 특히 아내는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많은 낯선 남성들과 만남을 이어 온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던 중, 제보자는 아내와 가까운 사이인 것으로 보이는 한 남성과 연락이 닿아 만나게 됐고, 알고 보니 이 남성도 가정이 있는 유부남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남성은 자신의 아내가 암 환자라며 봐달라고 사정했다고 했다. 이후 제보자는 아내에게 이 사실에 대해 따져 물었다. 이에 아내는 억울하다며 회 한 접시, 바람 쐬고 오고 온게 다라고 얘기했다. 또 같은 건물 윗 층에 사는 이웃 언니가 같이 가자고 해서 따라가 준거라며 언니 핑계를 댔다. 이런 가운데 제보자에 따르면 “아내가 제가 출장에 가 있는 동안 애들한테 제 욕을 그렇게 한 것이다. ‘아빠 여자 만나고 잘 살거야’, ‘노래방 도우미 부른다. 업소도 다닌다’라고 했다. 이 말에 화가 나서 제가 나와버렸다”라고 했다. 결국, 제보자는 아이에게 해명해 오해가 풀렸다. 이후 아내는 제보자에게 모든 싱글 카페를 다 탈퇴했다며 맘카페만 남았다고 했다. 이에 제보자는 아내의 맘카페 활동을 확인했다. 이때 제보자는 또 한 번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됐다. 아내가 맘카페에 시어머니를 시아줌마라고 부르며 조롱하는 듯한 글을 남긴 것이었다. 이를 본 제보자는 너무 화가 났고, 이 때문에 현재 공황장애와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연을 접한 양지열 변호사는 “이혼을 결심하게 될 경우, 아내가 책임저야 할 부분이 한 두가지가 아닐 것이다”며 “자녀들에게 거짓말 한 것은 정신적 학대다”라고 의견을 전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5-07-02 10:07:51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 소비 트렌드는 '불황'이 지배할 전망이다. 국내 주요 기관과 글로벌 투자은행(IB)에서는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했던 적은 코로나19가 확산됐던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2차 오일쇼크 때인 1980년(-1.6%) 등을 제외하고는 없다. 이에 따라 내년 소비 트렌드는 불황기 소비의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카드는 내년 소비 키워드로 짠테크 소비, 취향소비 등이 담긴 '공존(co-EXIST)'을 제시했다. 생필품은 유통기한 임박몰 식품몰에서 살 만큼 극도의 가성비를 따지지만 미술관이나 프리미엄 주류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취향소비'가 공존하는 것이다. ■불황에 '현명한 소비' 트렌드 강화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공존의 세부 키워드로 '소비 디톡스의 시대' '밀도 있는 취향 탐구' '하이브리드 라이프' '건강 스펙 시대' '컬러풀 소사이어티'를 내세웠다. '소비 디톡스의 시대'는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현명하게 소비하려는 생활 모습을 의미한다. 신한카드 고객의 올해 1~9월 유통기한 임박 식품몰 이용 현황을 분석해보니 전년동기 대비 이용 건수는 22%, 이용 금액은 10% 증가했다. 모바일 쿠폰 거래 플랫폼 이용 건수는 올해 3·4분기 누적 기준으로 전년동기 대비 183% 급증했다. 뿐만 아니라 1~9월의 소셜데이터 언급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동기 대비 소비 디톡스와 관련된 단어인 '반값'의 언급은 12%, '앱테크'는 46%, '무지출챌린지'는 무려 86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난도 서울대 교수도 '트렌드코리아 2023'에서 '체리슈머'를 10대 키워드 가운데 하나로 꼽은 바 있다. 체리슈머는 극한의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요즘 소비자를 뜻하는 말이다. 내년에는 이런 현상이 한층 강화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것을 최대한 얻어내는 소비자인 체리슈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작은 사치 위해 돈 아끼지 않는 2030 생존을 위한 소비에는 가성비를 따지지만 '작은 사치'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것 또한 불황기 소비의 특징이다. '밀도 있는 취향 탐구'는 관심 분야를 전문적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미술관의 경우 2030세대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희소성 있는 주류를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주류 특화 플랫폼도 이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1~9월 미술관·화랑 이용액이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했다. 2030세대는 55%, 그 이외 연령대는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기간에 주류 특화 플랫폼 이용액은 457%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라이프'는 인간과 기계가 조화를 이루는 삶으로, 신한카드 고객의 올해 1~9월 무인 매장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대비 48% 늘었다. '건강 스펙 시대'는 건강이 단순히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관리해서 업그레이드시켜야 하는 스펙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컬러풀 소사이어티'는 개개인의 특성을 다채로운 컬러로 이해하는 사회적 분위가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한카드가 SN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과 비교해 9월의 '먹방' 언급량은 34% 줄었으나 적게 먹는 '소식좌' 언급량은 4766%나 급증했다. 또한, '돌싱' 관련 단어 중, 긍정 감성어 비중은 2019년 3·4분기 누적 45.9%에서 2022년 동 기간 62.3% 로 16.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상황에서 자신과 다른 것을 인정하고 변화를 수용하며 만들어가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 도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2-12-19 17:48:18[파이낸셜뉴스]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 소비 트렌드는 '불황'이 지배할 전망이다. 국내 주요 기관과 글로벌투자은행(IB)에서는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했던 적은 코로나19가 확산됐던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8%),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2차 오일쇼크 때인 1980년(-1.6%) 등 단 4차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내년 소비 트렌드는 불황기 소비의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카드는 내년 소비 키워드로 짠테크 소비, 취향소비 등이 담긴 '공존(co-EXIST)'을 제시했다. 생필품은 유통기한 임박몰 식품몰에서 살 만큼 극도의 가성비를 따지지만 미술관이나 프리미엄 주류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취향소비'가 공존하는 것이다. 불황에 '현명한 소비' 트렌드 강화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공존의 세부 키워드로 '소비 디톡스의 시대', '밀도 있는 취향 탐구', '하이브리드 라이프', '건강 스펙 시대', '컬러풀 소사이어티'를 내세웠다. '소비 디톡스의 시대'는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현명하게 소비하려는 생활 모습을 의미한다. 신한카드 고객의 올해 1~9월 유통기한 임박 식품몰 이용 현황을 분석해보니 전년 동기 대비 이용 건수는 22%, 이용 금액은 10% 증가했다. 모바일 쿠폰 거래 플랫폼 이용 건수는 올해 3·4분기 누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3% 급증했다. 뿐만 아니라 1~9월의 소셜데이터 언급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대비 소비 디톡스와 관련된 단어인 '반값'의 언급은 12%, '앱테크'는 46%, '무지출챌린지'는 무려 86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난도 서울대 교수도 '트렌드코리아 2023'에서 ‘체리슈머’를 10대 키워드 가운데 하나로 꼽은 바 있다. 체리슈머는 극한의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요즘 소비자를 뜻하는 말이다. 내년에는 이런 현상이 한층 강화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것을 최대한 얻어내는 소비자인 체리슈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작은 사치 위해 돈 아끼지 않는 2030 생존을 위한 소비에는 가성비를 따지지만 '작은 사치'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것 또한 불황기 소비의 특징이다. '밀도 있는 취향 탐구'는 관심 분야를 전문적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특히 미술관의 경우 2030세대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희소성 있는 주류를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주류 특화 플랫폼도 이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1~9월 미술관·화랑 이용액이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했다. 2030세대는 55%, 그 이외 연령대는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기간에 주류 특화 플랫폼 이용액은 457%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라이프'는 인간과 기계가 조화를 이루는 삶으로, 신한카드 고객의 올해 1~9월 무인 매장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대비 48% 늘었다. '건강 스펙 시대'는 건강이 단순히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관리해서 업그레이드시켜야 하는 스펙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컬러풀 소사이어티'는 개개인의 특성을 다채로운 컬러로 이해하는 사회적 분위가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한카드가 SN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과 비교해 9월의 '먹방' 언급량은 34% 줄었으나 적게 먹는 '소식좌' 언급량은 4766%나 급증했다. 또한, '돌싱' 관련 단어 중, 긍정 감성어 비중은 2019년 3·4분기 누적 45.9%에서 2022년 동 기간 62.3% 로 16.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상황에서 자신과 다른 것을 인정하고 변화를 수용하며 만들어가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 도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2-12-12 15:3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