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에서 영어영역 1등급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해 난이도 조절 실패 논란이 인다. 과목별로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난이도를 보여줌으로써 수험생들이 9월 모의평가와 11월 본수능을 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탐구 응시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사탐런' 현상이 심화돼 이과 학생들의 수능 최저와 과학탐구 점수 예측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3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에 따르면, 영어 1등급 비율은 19.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월 모의평가(1.5%) 대비 크게 상승한 수치로, 2018년 영어 절대평가 도입 이후 6·9월 모의평가와 본수능을 통틀어 역대 최고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영어 1등급 비율 19.1%는 지나치게 높아 수험생들의 학습 전략과 수능 점수 예측에 혼란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9월 모의평가와 실제 수능에서는 이번 6월 모의평가보다 영어 난이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며, "수험생들은 긴장감을 늦추지 말고 꾸준히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소희 인재선발과장은 "시험 치른 후 현장 반응은 그 정도가 아니어서 채점 결과 보고 조금 놀라기는 했다"며, "향후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과목별 난이도를 살펴보면, 국어는 지난해 본수능보다 다소 쉽게 출제됐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137점으로 지난해 본수능보다 2점 줄었고, 표준점수 만점자는 1926명로 지난해 본수능 1055명보다 늘었다. 반면 수학은 지난해 본수능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143점으로 지난해 본수능보다 3점 높아졌고, 표준점수 만점자는 356명로 지난해 본수능 1522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뿐만아니라 이번 모의평가에서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지난해보다 사회탐구 9개 과목 총 응시자수는 13만2290명(31.5%) 증가한 반면, 과학탐구 8개 과목 총 응시자수는 7만4934명(21.5%) 감소했다. 특히 사회문화 응시자가 전년 6월 대비 6만3263명(48.1%) 급증했으며, 지구과학I은 2만6007명(21.8%) 감소했다. 이만기 소장은 "각 대학의 자연계열 탐구 과목 제한 해제가 원인"이라며, "사탐런은 과학탐구 선택 학생들에게 우수한 학생들만 남아 표준점수 최고점이 낮게 나올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을 안긴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물리학I은 표준점수 최고점이 65점으로 탐구영역 중 가장 낮았다. 수학에서도 '확통런' 현상이 포착됐다. 확률과 통계 응시 비율이 52.8%로 지난해 6월 48.3%보다 증가한 반면, 미적분과 기하는 감소했다. 이 소장은 "이 또한 각 대학의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 수학 과목 제한을 해제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임성호 대표는 "'사탐런'이 금년 수능에서 최대 이슈이자 변수로 부상이 확실시되며, 탐구 과목 점수 예측에 어려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소장은 "무조건적인 사탐런이나 확통런보다는 해당 과목에 대한 가산점이나 가중치 등을 잘 따져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6-30 14:30:15[파이낸셜뉴스] 지난 4일 치뤄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에서 사회탐구 선택과목에 응시한 학생이 2년전보다 10배 증가했다. 또한 의대 모집정원이 조정됨에 따라 예상 합격 점수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따라 입시전문가들은 자연계열 대입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목표로 하는 대학이나 학과에 따라 가산점 여부를 따져보고 과목 선택 결정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메가스터디교육은 최근 3년간 6월 수능 모의평가 당일 풀서비스 이용자 20만8000여명을 분석한 결과, 수학 미적분 선택자 중 사회탐구를 선택한 수험생이 45.5%까지 늘어났다고 11일 밝혔다. 또한, 2024학년도 정원으로 회귀한 의대 지원 가능 최저 점수는 국수탐 백분위 합산(영어 1등급) 기준 지난해 291점에서 올해 292점으로 1점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6월 모의평가에서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들의 탐구 선택과목을 살펴보면, 2023년에는 '미적분+과탐+과탐' 조합이 95.1%를 차지했으나, 올해에는 54.5%로 크게 축소됐다. 이에 반해, '미적분+사탐+사탐'과 '미적분+과탐+사탐' 비율은 각각 19.7%, 25.8% 등 미적분 응시자의 사탐 선택은 45.5%로 급증했다. 이는 2024년부터 주요 대학들이 자연계열의 과탐 필수지정을 폐지하면서 과탐에 대한 학습 부담을 느낀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사탐으로 대거 이동하는 '사탐런' 현상이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또 수학 미적분·기하 선택자 중 사탐을 1과목 이상 선택한 수험생의 국수탐 평균 백분위 분포를 분석한 결과, 평균 백분위 90점 이상 고득점을 받은 사탐+과탐 선택자는 전년보다 6.1%p 증가한 13.4%, 사탐+사탐 선택자는 3.4%p 증가한 18.6%를 기록했다. 평균 백분위 80점 이상인 학생도 전년 대비 늘었다. 과탐 대신 사탐을 선택한 고득점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사탐 과목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수를 거두며 전체 백분위 분포의 상단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과거 사탐런은 주로 성적이 낮은 중하위권 학생들이 점수 안정화를 위해 시도했던 전략이었지만, 문이과 통합 흐름에 맞춰 대학의 선발 방식도 변화하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국어 '화법과작문' 선택자는 지난해부터 증가 추세이며, 수학은 '확률과통계' 선택자가 지난해 25.7%에서 10.1%p 상승한 35.9%를 나타냈다. 반면, 미적분 선택자는 지난해(71.4%)보다 10.3%p 하락했다. 대학의 자연계 모집단위에서 '미적분·기하' 필수지정이 폐지되면서 최근 수험생들은 자신의 성적 상승에 용이한 과목에 집중하는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메가스터디 교육은 "자연계열 과탐 지정 반영 규정이 폐지되자 수험생들의 사탐런 현상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자연계 최상위권에서도 사탐 선택이 가능하지만 목표 대학 및 학과에 따라 탐구 선택 전략은 여전히 갈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4학년도와 동일하게 선발 인원을 재조정한 의대의 경우 6월 모의평가 기준 지원 가능 예상 백분위 점수(국수탐 백분위 합)는 292점 이상으로, 이는 지난해보다 약 1점 상승한 수준이다. 이밖에 치의예 290점, 한의예 288점, 수의예·약학 286점, 서울대 284점으로 예상되며 의대 선발 인원 축소에 의해 자연계 최상위권 합격선 역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분석된다. 충남대, 전남대 등 비수도권 의학계열은 여전히 과탐을 지정 반영하는 대학이 많고, 의대 중 가톨릭관동대, 단국대, 동국대와 차의과학대 약대는 과탐Ⅱ에 가산점을 부여한다. 따라서 의학 계열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들은 과탐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위권 자연계에서도 미적분+사탐 선택 전략이 가능하지만 성균관대, 한양대와 같이 과탐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과탐 1과목을 포함해 가산점을 확보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탐구 과목 선택은 내가 안정적으로 고득점을 확보할 수 있는 조합인지, 대학별 필수, 가산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동시에 따져 결정하는 것이 좋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6-11 10:22:37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응시생이 5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졸업생 접수자가 9만명을 육박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모의수능과 본 수능을 비춰보면 올해 본 수능에 응시하는 N수생은 22년 만에 최대 인원이 예상된다. 또 수험생 증가는 물론 사회탐구 영역 응시 쏠림현상과 의대정원 축소 등이 맞물려 가장 혼란스러운 입시가 예상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6월 4일 치러지는 모의수능에 재학생 41만3685명, 졸업생 등 수험생 8만9887명으로 총 50만3572명이 접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응시생은 지난해보다 재학생이 2만8250명, 졸업 수험생이 1189명 늘어나 총 2만9439명이 증가했다. 졸업생 등 수험생은 2011학년도 평가원 6월 모의평가 접수가 발표된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 입시가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임 대표는 "2026학년도는 의대 모집 축소로 인해 상위권 의대와 일반학과의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의대 모집이 크게 확대된 지난해 입시결과를 기본통계로 참고할 수 없는 점, 의대 모집 축소 상황 속에서도 졸업생 등이 증가하는 이례적 상황,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도 높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입시에 대한 부담은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선 이번 6월 모의수능에는 8만9887명으로 1189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모의수능 접수자와 본 수능 접수자를 비교 전망해보면, 2025학년도 졸업생 등 접수자는 6월 8만8698명, 9월 10만6559명, 본수능 18만1893명이었다. 6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접수하지 않고 본수능에 접수한 수험생이 9만3195명으로, 이는 반수생으로 추정된다. 종로학원에서는 2026학년도가 앞으로 반수생, 지난해 고3 학생들의 실제 수능 응시, 지난해 4년제 대학 정시 지원자 중 탈락자 규모 등을 종합해 볼 때 21년 만에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수치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18만 후반대에서 19만명대까지 육박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럴 경우 22년 만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또 대혼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지점은 사회탐구 영역 선택 증가다. 영역별 지원자 현황을 살펴보면, 국어 50만3343명, 수학 50만667명, 영어 50만3079명, 한국사 50만3572명, 사회탐구 36만8018명, 과학탐구 24만8642명, 직업탐구 7283명이며, 제2외국어·한문은 2만5243명이다. 특히 사회탐구 영역 지원자는 지난해 27만1676명이었으나, 9만6342명 증가했다. 반면, 과학탐구 지원자는 지난해 25만2265명 대비 3623명이 감소했다. 사회탐구 접수 비율은 59.7%로 지난해 51.9%보다 크게 높아진 상황으로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탐구 접수 비율도 2013학년도 이래 최고치다. 재학생에서는 사탐 접수 비율이 지난해 54.2%에서 60.6%로 증가했고, 졸업생 등에서는 지난해 41.6%에서 55.5%로 무려 13.9%p 급상승했다. 임성호 대표는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도 높게 나타나 과탐 과목에서 접수자가 줄어드는 과목에서는 상당수 수험생들이 불안해할 수 있고, 수능 과목 최종 선택에서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5-27 18:21:52[파이낸셜뉴스] 2026학년도 5월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사회탐구영역 응시자수가 지난해보다 10만707명, 30.2% 증가했다. 이로인해 2026학년도 대학입시에서 자연계열 입시생들의 사회탐구영역 선택 증가가 중대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대학들이 의대나 자연계 학과에서도 사탐 과목을 반영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23일 종로학원이 지난 8일 실시한 경기도교육청 고3 연합학력평가의 채점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살펴보면, 과탐 응시자수는 지난해보다 4만4810명 줄어 17.1% 감소했다. 5월 학평 기준으로 사탐 응시비율은 2024학년도 52.1%, 2025학년도 55.9%, 2026학년도 66.6%로 최근 2년새 급격히 증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사탐런 현상이 크게 발생하는 것은 상위권 대학들에서 상위권 의대, 자연계 학과들에서 사탐 과목을 수시, 정시 등에서 인정함으로써 과탐 과목에 부담을 느끼는 자연계 학생들이 사탐 과목으로 과목 변경을 하는 학생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사탐런 현상과 최근 문과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가 동시에 반영되는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정시에서는 의대, 자연계 학과의 경우 과탐 과목에 가산점을 적용하는 대학도 있다"며, "수시, 정시 유불리점을 명확하게 계산하고, 과목 전환에 따른 부담 정도도 충분히 고려해서 과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고려대, 성균관대, 아주대, 건국대, 경북대, 부산대, 이화여대, 한양대 의대 등에서는 2026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으로 사탐 과목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정시에서는 가톨릭대, 고려대, 부산대, 경북대 의대에서 사탐과목을 인정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기존 연세대, 중앙대, 경희대, 아주대, 중앙대 등에서는 2026학년도 이전부터 이미 사탐 과목을 인정해 왔다. 또한 의대 뿐만아니라 일반 자연계 학과에서도 사탐 과목을 수시, 정시 등에서 인정해주고 있다. 서강대, 홍익대, 서울시립대, 숭실대, 세종대 등에서도 사탐 과목을 자연계 학과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종로학원 측은 "N수생들이 본격 가세하는 6월 모평부터는 사탐런 현상이 전년보다 더 크게 변화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사탐, 과탐 모두 수능점수 예측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응시인원이 늘어나는 과목에서는 수능점수 고득점 학생이 많아질 수 있는 상황이고, 반대로 과탐 등에서 응시인원이 크게 줄어드는 과목에서는 수능 등급, 백분위 고득점 확보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응시과목이 급격히 줄어드는 과목의 수험생들은 상당히 불안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5-23 12:21:06[파이낸셜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응시생이 5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졸업생 접수자가 9만명을 육박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모의수능과 본 수능을 비춰보면 올해 본 수능에 응시하는 N수생은 22년 만에 최대 인원이 예상된다. 또 수험생 증가는 물론 사회탐구 영역 응시 쏠림현상과 의대정원 축소 등이 맞물려 가장 혼란스러운 입시가 예상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6월 4일 치러지는 모의수능에 재학생 41만3685명, 졸업생 등 수험생 8만9887명으로 총 50만3572명이 접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응시생은 지난해보다 재학생이 2만8250명, 졸업 수험생이 1189명 늘어나 총 2만9439명이 증가했다. 졸업생 등 수험생은 2011학년도 평가원 6월 모의평가 접수가 발표된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 입시가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 대표는 "2026학년도는 의대 모집 축소로 인해 상위권 의대와 일반학과의 합격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의대 모집이 크게 확대된 지난해 입시결과를 기본통계로 참고할 수 없는 점, 의대 모집 축소 상황 속에서도 졸업생 등이 증가하는 이례적 상황,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도 높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입시에 대한 부담은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선 이번 6월 모의수능에는 8만9887명으로 1189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모의수능 접수자와 본 수능 접수자를 비교 전망해보면, 2025학년도 졸업생 등 접수자는 6월 8만8698명, 9월 10만6559명, 본수능 18만1893명이었다. 6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접수하지 않고 본수능에 접수한 수험생이 9만3195명으로, 이는 반수생으로 추정된다. 종로학원에서는 2026학년도가 앞으로 반수생, 지난해 고3 학생들의 실제 수능 응시, 지난해 4년제 대학 정시 지원자 중 탈락자 규모 등을 종합해 볼 때 21년 만에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수치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18만 후반대에서 19만명대까지 육박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럴 경우 22년 만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또 대혼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지점은 사회탐구 영역 선택 증가다. 영역별 지원자 현황을 살펴보면, 국어 50만3343명, 수학 50만667명, 영어 50만3079명, 한국사 50만3572명, 사회탐구 36만8018명, 과학탐구 24만8642명, 직업탐구 7283명이며, 제2외국어·한문은 2만5243명이다. 특히 사회탐구 영역 지원자는 지난해 27만1676명이었으나, 9만6342명 증가했다. 반면, 과학탐구 지원자는 지난해 25만2265명 대비 3623명이 감소했다. 사회탐구 접수 비율은 59.7%로 지난해 51.9%보다 크게 높아진 상황으로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탐구 접수 비율도 2013학년도 이래 최고치다. 재학생에서는 사탐 접수 비율이 지난해 54.2%에서 60.6%로 증가했고, 졸업생 등에서는 지난해 41.6%에서 55.5%로 무려 13.9%p 급상승했다. 임성호 대표는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도 높게 나타나 과탐 과목에서 접수자가 줄어드는 과목에서는 상당수 수험생들이 불안해할 수 있고, 수능 과목 최종 선택에서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5-27 11:11:14의대 모집인원 축소와 함께 이과 학생 상당수가 문과로 전향할 것으로 보여 2026학년도 대학 입시는 더욱 혼란스러울 전망이다. 자연계 최상위권인 의대 합격점수가 상승하면서 자연계 상위권 일반학과 합격선도 단계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일각에서는 이과에서 문과로의 전향이 현실화될 경우 불확실성이 더욱 커져 사설 입시 컨설팅에 더 많이 의존하는 현상이 벌어질 것으로 우려했다. 20일 종로학원이 지난 3월에 치른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문과 학생이 응시하는 과목 선택률이 이례적으로 늘어난 반면, 이과 학생이 선택하는 과목은 감소했다. 또 이과 학생들이 사회탐구 과목에 응시하는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구도를 보였다. 수학과목 중 이과 학생이 주로 응시하는 미적분과 기하의 선택률이 40.5%로 지난해 46.1%에서 5.6%p 하락했다. 반면 문과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확률과 통계의 응시률은 59.5%로 지난해 53.9%에서 5.6%p 상승했다. 또 사탐 과목 중 사회문화는 지난해보다 4만6083명 늘어났고, 생활과 윤리는 2만3616명, 세계지리는 7743명 등 9개 과목 모두가 지난해보다 응시생이 늘어나 9개 과목 전체에서 9만8976명이 증가했다. 과학탐구 과목은 지구과학I에서 1만2146명, 화학I 1만1870명, 생명과학I 9786명, 물리I 5177명으로 4개 과목에서 3만8979명이 줄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문과 학생이 증가한 원인은 최근 의대 선호현상으로 상위권 학생들이 이과에 집중돼 있고, 서울권 소재대학 합격선도 이과가 문과보다 높은 상황"이라며, "이에 부담감을 느낀 이과 중위권, 중하위권 학생들이 문과로 전향하면서 중상위권 대학을 겨냥하고 있는 것"이라고 예상했다. 종로학원은 이에 대해 상위권 학생 중 문과 학생들이 수능에서 다소 유리할 수 있으며, 이과 학생들은 응시생 인원이 감소해 불리한 구도로 내다봤다. 특히, 의대 등 이과 최상위권 학생들은 향후 재수생 등이 가세하면서 과탐 과목 응시생 수가 지난해보다 더 크게 줄어드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과탐 과목이 상당한 입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지난 17일 교육부가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발표하면서 입시 전문가들은 불안정성이 지배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투스에듀는 의대 모집인원이 2024학년도 이전으로 돌아갔음에도 '무전공'이라는 변수 때문에 과거 입시결과를 활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분석이다. 이투스에듀 김병진 교육평가연구소장은 "2025학년도부터 신설된 '무전공 모집 단위'로 인해 2024학년도 입시 결과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유웨이 이만기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의대 모집인원이 3058명으로 줄어들었음에도 지역 인재 전형 비율은 40% 이상을 유지해야 해 전국 단위 일반전형의 문은 더욱 좁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측 불가 요인이 늘어남에 따라 수험생의 불안 심리가 증가해 컨설팅 수요가 늘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5-04-20 18:2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