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올해 석유 수요를 상향 조정했다. 미국과 이란간 핵 협상 타결 가능성과 미국의 관세 부과가 오래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정한 것으로 19일(현지시간) 온라인 에너지 전문 뉴스 사이트 오일프라이스닷컴은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들이 1일 석유 수요 증가량 전망치를 상향했으나 유가 전망을 기존 수준으로 유지했다고 보도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수요가 하루 60만배럴씩, 내년에는 40만배럴씩 증가할 것이라고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미국과 이란의 핵협상 타결시 이란산 원유 공급량이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까지 하루 360만배럴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날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주 두나라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이 발언에 유가가 배럴당 약 2달러 떨어졌다. 골드만삭스가 올해 석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또다른 이유는 미국의 관세 인하 가능성과 이로 인한 경제 활동 증가다. 다만 공급면에서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불확실한 생산 전략과 높은 원유 재고로 우려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유가 전망은 북해산 브렌트유는 60달러,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56달러로 종전 수준을 유지했다. 내년에는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OPEC의 감산 중단 같은 상황에서는 브렌트유가 내년에 배럴당 40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있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들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소셜미디어에 WTI의 가격이 40~50달러 사이를 유지하는 것을 원한다고 적은 것을 주목했다. 글 분석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이 평소 미국의 에너지 독점과 물가 안정에 적절한 유가를 30~50달러라고 한 것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에너지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정학적 변수와 수요의 변화로 글로벌 석유 시장의 변동성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기대와 달리 미국의 관세 부과가 계속 이어질 경우 글로벌 경제가 타격을 받으면서 브렌트유 가격이 내년말에는 배럴당 40달러까지 떨어지고 산유국들로 구성된 OPEC+의 감산량이 2022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2025-05-20 11:10:27[파이낸셜뉴스] 국제 유가가 15일(현지시간) 하락했다. 거래일 기준으로 사흘 만에 하락세다. 다만 낙폭이 크지는 않았다. 전날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올해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증가폭을 낮춰 전망한 데 이어 이날은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수요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IEA는 올해 세계 석유 수요 증가 규모를 하루 103만배럴에서 73만배럴로 대폭 낮췄다. 내년 전망치도 하루 69만배럴로 증가폭을 낮춰 잡았다. 특히 IEA의 올해 석유 수요 증가량 조정폭은 하루 30만배럴로 전날 OPEC 조정폭 하루 15만배럴의 두 배에 이른다. 전날 OPEC의 수요 전망 하향에도 소폭 상승했던 국제 유가는 IEA 수요 전망 둔화가 가세하면서 결국 버티지 못했다. 국제 유가 기준물인 브렌트유는 6월 인도분이 전장대비 0.21달러(0.32%) 하락한 배럴당 64.67달러로 마감했다. 미국 유가 기준물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역시 근월물인 5월 물이 0.20달러(0.33%) 내린 배럴당 61.33달러로 장을 마쳤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5-04-16 06:01:23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올해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이 세계 경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OPEC은 14일(현지시간) 공개한 월간 석유시장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 석유 수요가 늘기는 하겠지만 이전 전망보다 하루 약 15만배럴 적은 하루 130만배럴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세계 경제가 연초만 해도 탄탄한 성장세를 보였다"면서 "그러나 최근 무역 분쟁들이 단기 세계 경제 전망에 높은 불확실성을 끌어들였다"고 지적했다. OPEC은 관세전쟁에 따른 불확실성을 이유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 3.1%로 낮췄다. 이전 전망보다 각각 0.1% p 낮은 수준이다.트럼프는 오락가락 행보 속에 고강도 관세와 유예 조처를 반복하고 있다. 취임 직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중국에 20% 관세를 때렸다가 캐나다, 멕시코 관세는 한 달 유예했고, 지난 2일에는 대대적인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상호관세는 그러나 9일 대부분 나라에 90일 동안 유예됐다. 미 상호관세에 보복관세로 맞선 중국에는 모두 145% 관세를 물린다고 트럼프는 밝혔다. 또 상호관세는 유예했지만 10% 기본관세는 대부분 제품에 적용하기로 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5-04-15 18:12:38[파이낸셜뉴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올해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이 세계 경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OPEC은 14일(현지시간) 공개한 월간 석유시장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 석유 수요가 늘기는 하겠지만 이전 전망보다 하루 약 15만배럴 적은 하루 130만배럴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세계 경제가 연초만 해도 탄탄한 성장세를 보였다”면서 “그러나 최근 무역 분쟁들이 단기 세계 경제 전망에 높은 불확실성을 끌어들였다”고 지적했다. OPEC은 관세전쟁에 따른 불확실성을 이유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 3.1%로 낮췄다. 이전 전망보다 각각 0.1% p 낮은 수준이다. 트럼프는 오락가락 행보 속에 고강도 관세와 유예 조처를 반복하고 있다. 취임 직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중국에 20% 관세를 때렸다가 캐나다, 멕시코 관세는 한 달 유예했고, 지난 2일에는 대대적인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상호관세는 그러나 9일 대부분 나라에 90일 동안 유예됐다. 미 상호관세에 보복관세로 맞선 중국에는 모두 145% 관세를 물린다고 트럼프는 밝혔다. 또 상호관세는 유예했지만 10% 기본관세는 대부분 제품에 적용하기로 했다. 한편 OPEC은 석유 수요 전망을 낮췄지만 아직은 증산 계획을 바꾸지 않고 있다. 러시아 등이 포함된 OPEC플러스(+)는 다음달부터 하루 41만1000배럴를 더 생산할 계획이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5-04-15 02:52:14[파이낸셜뉴스] 비교기업 주가가 상승했다며 NH투자증권이 금호석유 목표주가를 16만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24일 최영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25년 NB 라텍스의 스프레드 개선을 전망한다"며 "근거는 가동률 상승과 제한적 증설, 가파른 수요 개선 등"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NB 라텍스 가동률은 지난해 초 50~60%에서 현재 80%까지 상승했다. 여기에 추가 수요가 나타난다면 스프레드 개선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NB 라텍스 수요는 강하게 회복하는 상황이다. 최 연구원은 "전세계 1위 라텍스 장갑 소비국인 미국 수입량과 1위 생산 기업 TOP Glove 판매량, 1위 원재료 생산국인 한국의 NB 라텍스 수출량 모두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라며 "니트릴 장갑 침투율 확대,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 등에 따라 금호석유의 NB 라텍스 수요 개선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5-02-24 08:44:24세계 석유 수요가 친환경 에너지 및 전기차 보급에도 불구하고 최소 2040년까지 현재와 비슷한 규모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최대 석유 수입국인 중국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다른 신흥시장의 발전과 플라스틱 생산 때문에 여전히 각국에서 석유를 찾는다고 내다봤다. 2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스위스 에너지 중개 업체 비톨이 발표한 장기 석유 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석유 수요가 당분간 건재하다고 전했다. 국제 일일 석유 거래의 약 7%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석유 중개사 비톨은 내부 분석 결과 2040년 기준 세계 석유 수요가 일평균 1억500만배럴로 지금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수요는 2020년대 말에 일평균 1억1000만배럴까지 늘어 정점을 찍은 뒤 다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비톨은 석유 제품 중에서 휘발유의 경우 중국의 수요 감소와 전기차 보급으로 인해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2040년 세계 휘발유 수요는 지금보다 일평균 450만배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톨은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석유화학제품 수요와 신흥시장의 난방 및 가사용 액화석유가스(LPG)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체 석유 수요가 유지된다고 분석했다. 비톨은 기존에 석탄 등 고체 연료를 사용하던 국가들이 점차 가스로 전환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원유 정제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석유화학제품과 LPG 수요는 2040년까지 각각 일평균 600만배럴, 170만배럴 늘어날 전망이다. 비톨의 이번 관측은 앞서 나온 전망과 차이가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6월 시장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29년에 일평균 1억560만배럴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하면서 2030년부터 과잉공급이 발생한다고 예측했다. 반면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같은해 9월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23년 기준 일평균 1억220만배럴에서 2050년 1억2010만배럴까지 약 17.5%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박종원 기자
2025-02-03 18:21:15[파이낸셜뉴스] 세계 석유 수요가 친환경 에너지 및 전기차 보급에도 불구하고 최소 2040년까지 현재와 비슷한 규모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최대 석유 수입국인 중국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다른 신흥시장의 발전과 플라스틱 생산 때문에 여전히 각국에서 석유를 찾는다고 내다봤다. 2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스위스 에너지 중개 업체 비톨이 발표한 장기 석유 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석유 수요가 당분간 건재하다고 전했다. 국제 일일 석유 거래의 약 7%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석유 중개사 비톨은 내부 분석 결과 2040년 기준 세계 석유 수요가 일평균 1억500만배럴로 지금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수요는 2020년대 말에 일평균 1억1000만배럴까지 늘어 정점을 찍은 뒤 다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비톨은 석유 제품 중에서 휘발유의 경우 중국의 수요 감소와 전기차 보급으로 인해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2040년 세계 휘발유 수요는 지금보다 일평균 450만배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톨은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석유화학제품 수요와 신흥시장의 난방 및 가사용 액화석유가스(LPG)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체 석유 수요가 유지된다고 분석했다. 비톨은 기존에 석탄 등 고체 연료를 사용하던 국가들이 점차 가스로 전환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원유 정제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석유화학제품과 LPG 수요는 2040년까지 각각 일평균 600만배럴, 170만배럴 늘어날 전망이다. 비톨의 이번 관측은 앞서 나온 전망과 차이가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6월 시장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29년에 일평균 1억560만배럴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하면서 2030년부터 과잉공급이 발생한다고 예측했다. 반면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같은해 9월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23년 기준 일평균 1억220만배럴에서 2050년 1억2010만배럴까지 약 17.5%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영국 에너지 기업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은 지난해 7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기대보다 느릴 것이라며 2020년대 말까지는 석유 수요가 안정적이라고 진단했다. BP는 당시 보고서에서 2040년 세계 석유 수요를 기존 전망치보다 6% 늘어난 일평균 9140만배럴로 예측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2025-02-03 10:44:56[파이낸셜뉴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개발도상국들의 수요 증가로 향후 20년 동안 세계 석유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OPEC은 24일(현지시간) 공개한 장기 에너지 동향 연례 보고서에서 석유 수요가 지난해 하루 1억220만 배럴에서 오는 2050년 하루 1억2010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OPEC은 "석유 수요가 정점에 도달하려면 아직 멀었다"고 밝혔다. 석유 수요 증가는 신흥국이 이끌 것으로 봤다. 이 기간 비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수요는 하루 2800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OECD 국가의 수요는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OPEC은 전 세계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체 에너지 사용을 늘리겠지만 석유와 가스는 21세기 중반까지 에너지 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 전체 에너지 사용량에서 53%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석유만 보면 29.3%를 차지하고, 수요 증가 대부분은 석유화학과 도로 운송 및 항공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수요 증가를 고려해 OPEC은 2050년까지 석유 부문 투자를 17조4000억 달러까지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 평균으로는 6400억 달러 가량이다. 다만 OPEC의 석유 수요 전망이 다른 에너지 관련 기구들에 비해 너무 낙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반적으로 OPEC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긴 하지만 이번 전망은 격차가 큰 편이다. 앞서 미국을 비롯한 석유 소비국 그룹을 대표하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29년에 석유 수요가 하루 약 1억600만 배럴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지난 6월 예상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코모더티 인사이트는 오는 2034년에 수요가 하루 1억900만 배럴로 정점을 찍고 2050년엔 하루 1억 배럴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
2024-09-25 14:55:56[파이낸셜뉴스] 국제 유가와 구리 가격이 3일(현지시간) 동반 급락했다. 수요 둔화 우려가 유가와 구리 가격을 끌어내렸다. 국제 유가는 리비아가 석유 생산을 재개할 것이라는 소식까지 겹쳐 낙폭이 컸다. 이날 골드만삭스는 세계 최대 석유 수입국이면서 구리 소비국인 중국이 경기 둔화 속에 석유와 구리 수입을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석유와 구리 가격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구리 가격 전망치, 30% 하향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골드만은 전날 분석노트에서 내년 구리 가격 전망치를 30% 넘게 하향 조정했다. 당초 톤(t)당 1만5000달러로 잡았던 내년 구리 가격 예상치를 이날 t당 1만100달러로 낮췄다. 골드만 애널리스트들은 올여름 중국의 상품(원자재) 수요 전반이 약화됐다면서 특히 석유와 구리 수요가 취약했다는 점을 그 배경으로 지목했다. SEB의 상품 담당 수석 애널리스트 비얀 실드롭은 "이는 비단 중국의 석유 수요뿐만이 아니라 중국 경제 자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 공식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8월 제조업 활동이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하는 등 경기 둔화 조짐이 뚜렷하다. '원자재 먹는 하마' 중국의 원자재 수요가 앞으로도 둔화될 것임을 예고한다. 그 여파로 구리 가격은 12월 인도분이 코멕스(COMEX)에서 온스당 0.1215달러(2.88%) 급락한 4.09달러로 미끄러졌다. 브렌트유, 5% 폭락 국제 유가는 이날 폭락했다. 국제 유가 기준물인 브렌트유는 전일비 최대 5% 폭락하면서 배럴당 73.67달러까지 추락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미국 유가 기준물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역시 지난 주말보다 4.5% 급락해 배럴당 70.25달러까지 미끄러졌다. WTI는 전날 노동절 연휴로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 골드만의 중국 석유 수요 둔화 전망 보고서와 함께 증산 예상이 유가 급락을 불렀다. 석유수출국기구(OPEC)플러스(+)가 10월부터 증산에 나설 것이란 예상과 리비아가 석유 생산을 원래대로 늘릴 것이란 전망까지 더해졌다. 현재 리비아 동부 지역을 장악한 군벌 칼리파 하프타르와 동부 의회가 지지하는 사디크 알-카비르 중앙은행 총재가 동부와 서부 중앙정부 간에 타협이 임박했다고 밝히면서 크게 위축됐던 리비아 석유생산이 정상을 회복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다. 리비아 중앙정부가 알-카비르 총재를 해고할 것이란 전망 속에 동부 지역이 반발하면서 리비아의 하루 120만배럴 산유량은 약 60% 급감한 바 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24-09-04 04:18:52[파이낸셜뉴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중국의 수요가 예상된다며 하루 산유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JS)은 OPEC가 공개한 보고서에서 올해 하루 평균 석유 수요 증가분을 하루 225만배럴에서 211만배럴로 낮추면서 일일 수요가 평균1억430만배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현재 수요가 역대 평균인 140만배럴을 넘고 있어 건전한 수준으로 경제개발협력국(OECD) 소속이 아닌 국가에서 항공기와 자동차 여행, 산업과 건설, 농업 활동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유가는 최근 들어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란의 이스라엘 보복 가능성, 리비아 최대 유전 가동 중단, 미국의 침체 가능성 감소 등에 힘입어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의 경제 수요 감소와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미국 금리 시기에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OPEC는 지난달 회원국들의 전체 평균 하루 산유량이 전월 보다 18만5000배럴 증가한 2675만배럴이라고 발표했다. OPEC와 러시아를 비롯한 비회원 산유국들로 구성된 OPEC+는 이달초 석유장관 회의를 개최했으나 산유량 정책 변경 문제가 결정되지 않았으며 10월부터 점진적인 자율 감산이 시작될지에 대해서도 시사를 하지 않았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2024-08-13 13:5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