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전남대 의대가 차세대 의사과학자(physician-scientist) 공동 양성에 나선다. 24일 GIST에 따르면 전남대 의대와 공동 기획한 'G-STAR(Global Scientist Training for Advanced Research) 프로그램 개발' 과제가 최근 연구·의료계에서 새로운 융합형 인재 양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G-STAR 프로그램'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할 차세대 융합형 인재, 특히 임상과 기초과학을 아우르는 의사과학자(physician-scientist) 양성을 목표로 기획된 교육·연구 통합 플랫폼이다. 이 과제는 지난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5년 바이오·의료기술 개발 사업'에 선정돼 GIST 의생명공학과 김재관 교수가 주관연구기관 책임자를, 전남대 의대 정채용 교수가 공동연구기관 책임자를 맡아 추진 중이다. 두 대학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4년간 총 34억원의 정부 지원을 받아 60명 이상의 의사과학자 및 바이오메디컬 융합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단기 교육에 그치지 않고 한국형 의사과학자 양성 모델을 정립한 뒤 이를 글로벌 네트워크로 확장해 K-바이오의 세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관연구기관 책임자인 김재관 교수는 "G-STAR 프로그램은 의학과 과학, 공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미래 의료 혁신을 이끌 핵심 인재 양성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연구기관 책임자인 정채용 교수도 "이 사업은 그간 숙원 과제였던 의사과학자 양성의 실현이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첨단의학 연구를 촉진하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 의학은 기초과학과 임상의학 간의 긴밀한 연계를 필요로 하지만, 국내에는 연구 중심 의사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매년 약 3300명의 의학계열 졸업생 중 기초의학 연구 분야로 진출하는 비율은 1%도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GIST와 전남대는 의료 현장의 통찰력을 과학 연구로 연결하고, 연구 성과를 다시 환자 치료로 이어 주는 양방향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G-STAR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이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GIST는 AI·의생명공학·우주의학 등 첨단 융합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하는 실증 중심의 교육 기반을, 전남대 의대는 면역치료 및 정밀의료 분야의 풍부한 임상 경험과 연구 기반을 갖추고 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6-24 16:04:41광주과학기술원(GIST)는 15일 오수 1시 30분 GIST 오룡관에서 광주과학고와 전남과학고 등 지역고교생들과 대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뇌의 신비와 중요성을 알리는 공개강좌를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뇌 주간을 맞아 ‘우리 뇌의 비밀:구조에서 질병까지’라는 주제로 마련된 이번 행사에선 ‘뇌와 행동’(전남대 심리학과, 김문수 교수), ‘뇌와 신호전달’(전남대 약학대학, 김권섭 교수), ‘뇌의 신경발생’(GIST 생명과학과 송미령 교수), ‘뇌의 구조’(조선대 의대 오재욱 교수), ‘뇌와 신경세포’(GIST 생명과학과, 장성호 교수) 등 5개 강좌가 이어진다. GIST 장성호 교수는 “뇌를 통한 인간의 정신과 신체활동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할 것“이라며 “이번 공개강좌가 과학영재들과 방청객들에게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관련분야 연구의 중요성을 크게 알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세계 뇌 주간(World Brain Awareness Week)은 지난 1992년 미국에서 일반인에게 뇌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됐으며 현재 세계 57개국이 매년 3월 셋째 주에 다양한 행사를 열고 있다. /economist@fnnews.com이재원기자
2008-03-13 10: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