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데몬 헌터스' 포스터. /사진=넷플릭스
[파이낸셜뉴스] K팝 아이돌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의 신작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와 동시에 돌풍을 일으키는 가운데 중국이 또다시 '도둑질'이라는 말도 안 되는 근거를 내걸며 태클을 걸고 있다.
전세계 영화 1위 오른 'K팝 아이돌 애니메이션'
23일 글로벌 OTT 플랫폼 시청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지난 20일 공개된 이 영화는 전 세계 영화 부문 1위를 기록했다. 공개 직후 한국은 물론 미국, 영국, 호주, 프랑스, 독일, 홍콩, 인도, 이탈리아, 일본, 멕시코 등 26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슈퍼스타인 '루미', '미라', '조이'가 무대 뒤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으로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제작사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과 함께 한국계인 매기 강과 크리스 아펠한스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아덴 조, 메이 홍, 안효섭, 유지영, 김윤진, 켄 정, 이병헌, ‘꽈찌쭈’로 알려진 대니얼 대 김 등이 더빙에 참여했다. 트와이스 정연, 지효, 채영도 OST ‘테이크다운’에 참가했다.
특히 남산 서울타워, 기와집, 저승사자, 호랑이 등 한국적인 요소들이 화려한 K팝 음악과 박진감 넘치는 액션, 감각적인 애니메이션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작품 말미 주인공 루미의 반전 서사가 등장하면서 벌써 후속편 제작 요청까지 잇따르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저승사자 이미지를 차용한 보이밴드. /사진=넷플릭스
중국 네티즌, 매듭·건축 양식 등 '자국 문화' 주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자 중국이 또다시 트집을 잡고 있다. 중국 내 온라인에 작품 속 전통 매듭, 한약, 호랑이, 건축 양식 등을 두고 중국의 고유문화라고 주장하고 있어서다.
중국 최대 리뷰 플랫폼 '더우반'에는 23일 현재 600여개의 리뷰가 올라왔는데 이 중엔 "한국은 더 이상 문화 도용과 표절을 숨기지 않는다", "한국이 문화를 도둑질하도록 소니가 돕고 있다", "왜 한국적인 요소에 중국 요소를 넣는 거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그 동안 중국은 우리 문화에 대해 자국문화를 도용했다는 주장을 꾸준히 해 왔다. 지난해 말에도 명품 브랜드 펜디가 서울시 무형문화재 13호 김은영 매듭 장인과 협업한 핸드백을 공개한 뒤 중국 네티즌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해당 제품을 홈페이지와 SNS에서 삭제했다.
한국 네티즌 "넷플릭스 불법시청...저작권 침해가 도둑질"
한국 네티즌들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한국 네티즌들은 "넷플릭스도 불법으로 보면서 저렇게 당당하냐", "누가 도둑질을 하고 있는지 돌아볼 때"라며 중국을 향해 따끔하게 지적했다.
현재 중국에선 넷플릭스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볼 수 없다. 따라서 해당 리뷰는 대부분 불법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등 비공식 경로를 통해 시청한 뒤 올라온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앞서 '오징어게임', '폭싹 속았수다', '더 글로리' 등 콘텐츠를 불법 시청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저작권 침해 문제가 제기돼 왔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