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가 7일 새벽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에서 만기출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검찰이 '허위 인터뷰'를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으로 규정하고 배후 세력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7일 "대통령 선거를 목전에 두고 유력 후보에 대한 허위 사실을 공표했고, 유사한 내용의 허위 보도와 고발이 이어졌다"며 "헌법상 민주주의의 근간인 선거제도를 농단한 점에서 검찰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으로 보고 허위 인터뷰의 경위와 배후세력 규명을 위해 수사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핵심 인물인 김만배씨는 '허위 인터뷰'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검찰은 보도 시점 등을 따져볼 때 '여론조작' 의도가 짙다고 판단했다.
이날 자정께 석방된 김씨는 "녹음을 하고 있는지도 몰랐다", 대선 개입 의도를 묻는 질문에는 "제가 그렇게 능력 있는 사람은 아니다"며 허위 인터뷰 의혹과의 연관성을 부인했다.
그럼에도 검찰은 허위 인터뷰의 보도가 대선 직전에 이뤄졌다는 점 등을 미뤄볼 때, 전반적인 과정에 김씨가 개입했다고 보고 있다.
김씨와 신 전 위원장이 인터뷰를 한 시점은 2021년 9월 15일인 반면, 인터넷매체 뉴스타파의 보도는 인터뷰로부터 6개월 뒤이자 20대 대통령 선거(2022년 3월 9일) 직전인 2022년 3월 6일 이뤄졌다는 점에서 계획적으로 특정 후보에 대한 여론을 악화시키기 위한 의도를 가졌다고 판단한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김만배씨가 유력 언론인을 거액으로 매수해 대장동 비리를 호도하는 내용을 유포했다는 것이 이 사건의 본질"이라며 "허위 인터뷰가 대선 직전 언론을 통해 유포했다고 보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후세력 존재에 대해서도 검찰은 강한 의심을 품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인터뷰로 수혜를 본 사람들도 조사한다고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 "드러난 정황에 의하면 단순히 일회성으로 이뤄졌다고 보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그 과정들을 확인해 보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검찰은 김씨와 신 전 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이날 신 전 위원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씨는 신학림 전 언론노조 위원장(당시 뉴스타파 전문위원)에게 1억6500만원을 지급하고 지난 2021년 9월 15일 허위 인터뷰를 진행하고, 대선 직전인 2022년 3월 6일 뉴스타파를 통해 보도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둘 사이 인터뷰에는 '윤석열 검사가 2011년 당시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하던 중 대장동 대출 브로커 조우형씨(천화동인6호 실소유주)를 만나 사건을 무마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koreanbae@fnnews.com 배한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