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 포함 소매판매지수
16개월 연속 감소… 역대 최장
에너지·농산물·외식물가 급등
고금리 장기화에 이자부담 최대
추석 연휴가 2주 앞으로 다가온 2일 서울 송파구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에서 상인이 배추를 정리하고 있다. 올해 배추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월간 기준으로 보면 한 달도 빠짐없이 평년보다 높았다. 지난 7월 배추 상품 평균 가격은 10㎏당 1만2471원으로 평년보다 11% 높았으며 특히 폭염으로 생산이 부진하던 지난달에는 가격이 2만원을 웃돌아 평년보다 30%가량 비쌌다. 뉴시스
가계에서 쓸 수 있는 '여윳돈'이 쪼그라들며 우리나라 경기도 전반적으로 침체를 향해 가는 중이다. 감소한 소득만큼 줄인 소비가 '내수 부진'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어서다. 소비 감소를 시작으로 도·소매 매출이 줄고, 이어 소상공인 등 자영업 가구의 소득이 재차 감소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고금리·고물가의 이중고가 지속되며 '악순환'에 가속도를 붙이는 모양새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음식점을 포함한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는 지난 7월 101.9(2020년100)로 전년동기에 비해 2.3% 하락했다. 음식점 포함 소매판매지수는 상품소비에 가계소비와 밀접한 외식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지수로 실질소비의 동향을 엿볼 수 있는 지표다.
음식점 포함 소매판매지수는 작년 4월부터 16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역대 가장 긴 기간이다. 부문별로 소매판매는 작년 6월(1.4%)과 올해 2월(0.9%) 일시적인 반등을 빼고 2022년 9월부터 쭉 내리막을 걷는 중이다.
특히 자영업자 창업이 많은 '음식점업 및 주점업'은 작년 5월부터 하락세다. 2022년에는 두자릿수대 상승률까지 기록했지만 그 뒤로는 오히려 하락을 거듭하는 중이다. 생활소비가 줄어든 배경에 앞서 줄어든 가계소득이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나라 가계의 흑자율은 지난 2·4분기까지 8개 분기 연속해서 줄어드는 중이다.
소득의 절대적인 액수는 지난 2·4분기 496만1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3.5% 오히려 늘어났다. 문제는 가계지출이 4.3% 늘며 소득증가분을 무위로 돌린다는 점이다. 식품·교육·교통 등을 포함하는 '소비지출'은 4.6% 늘어나며 가계소득의 56%가량을 사라지게 만들고 있다.
가계에서는 '소비성' 지출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정작 가계수요에 대응하는 공급 측에 별다른 호재가 되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늘어난 소비지출이 '소비 활성화'로 이어지지 못하는 셈이다. 고물가가 장기화되며 사실상 더 많은 물건이나 서비스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표면상의 가격만 오른 모양새가 돼서다. 소비자물가 전반이 2%대로 안정됐다고 하지만 부문별로 들여다보면 민생과 직결된 에너지·농산물·외식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기록 중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고금리 역시 비소비지출의 부담을 오랫동안 키워왔다.
지난해 1인 이상 가구의 명목지출 중 월평균 이자비용은 13만원으로, 9만9000원이었던 2022년과 비교하면 1년 새 31.7% 급등했다. 올해 1·4분기에도 월평균 13만8000원, 2·4분기 12만5000원으로 1년 넘게 급등한 이자비용을 감당하는 중이다.
정부는 지속적으로 물가부담을 낮추는 동시에 올해 하반기 중 금리인하를 시사하며 직접적인 '내수회복' 언급에 나서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내수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은 선제적 금리인하인데 이는 무산됐고 인하는 빨라야 10월"이라며 "금리인하 효과가 나타나는 데에는 시차가 있기 때문에 하반기 경제는 생각했던 것보다 위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통화정책 효과가 내수로 가시화되려면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선제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며 "올해 하반기에 정책금리가 인하돼도 내수가 살아나는 효과는 내년이 돼서야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