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더 늦기전에 복귀해달라"
수업 불참때 ‘유급’ 학칙대로 적용
오락가락 정책에 수험생 혼란키워
연합뉴스
정부가 17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공식 발표했다. 이번 결정으로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3 학생과 1~2학년생까지 입시 불안정성이 커졌다는 평이 나온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사진)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오늘 발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관한 사회적 논란을 매듭짓고, 이제는 모두가 의대 교육의 정상화 실현과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한 의료개혁에 힘을 모아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대생들의 수업 불참으로 인한 유급 처분과 관련, 정부와 의학교육계는 "올해는 지난해처럼 학사 유연화 조치는 없으며, 수업 불참에 대한 유급 적용 등은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학사를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미복귀에 대해 "결국 학생이 최대의 피해를 입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의료인력 양성체계에도 심각한 부담을 야기해 사회적으로도 큰 비용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선 학업에 복귀한 후 의료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내달라"며 "학사일정과 입시일정을 고려했을 때 이번이 마지막 기회로 더 늦기 전에 복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의대 모집인원 발표 자리에 함께한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장단 양오봉 전북대 총장과 이해우 동아대 총장,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 이종태 이사장, 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도 유급 구제책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교 전 학년생의 혼란은 불가피해졌다. 고3은 합격점수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가중됐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고3 수험생이 고2 때 발표된 의대 모집정원 확대 발표와 배치되는 상황이어서 의대 입시예측이 매우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또 고1, 2는 의대정원 변수가 지속됨으로써 입시 불안정성이 커졌다. 2026학년도 모집인원이 3058명일 뿐 정원이 축소된 것은 아니어서 2027학년도나 2028학년도 입시에서는 다시 늘어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투스에듀 김병진 교육평가연구소장도 "최상위 모집 단위인 의대로부터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 일반 모집 단위의 경우 2025학년도부터 신설된 '무전공 모집 단위'라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2024학년도 입시 결과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