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싱크홀 선제 대응"...대전시, 市전역 하수관로 탐사나선다

전국 지반침하 원인 90% 노후 하수관...하수관 578km, 지하차도 28km GPR 탐사

"싱크홀 선제 대응"...대전시, 市전역 하수관로 탐사나선다
지표투과레이더(GPR)을 장착한 특수 차량이 지하 공동(空洞)을 탐지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대전시가 올해 안에 시 전역 하수관로 578㎞구간과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하차도 28㎞구간의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진행한다.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는 지반침하 사고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21일 대전시에 따르면 최근 4년여간(2021~2025년 5월) 지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는 모두 32건으로, 이 중 91%인 29건이 노후 하수관 파손에 따른 것이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대전시는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조치에 나선다.

단기적으로 대전시는 올해 12월까지 총 14억 원을 투입, 시 전역 하수관로 578㎞구간과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하차도 28㎞구간을 대상으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진행한다. 이는 법적 최소 요건을 넘어서는 선제 조치로, 공동(空洞) 탐지와 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게된다.

또 올해 추경 예산으로 2억 원을 반영, 인명피해 우려 지역과 대규모 공사장 주변에 대해 수시 탐사를 벌인다. 이 구간은 연간 단가 계약을 통해 긴급 상황 때 즉각 대응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대전시는 대규모 굴착공사 인허가 시 GPR 탐사 의무 조건을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공사 착공 전, 시공 중, 준공 전, 우기 전후 등 연 2회 이상 탐사를 조건화해 민간사업자의 책임도 함께 강화한다.

이는 서울·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대형 침하사고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제도적으로 사전 대응을 정착시키기위한 조치다.

대전시는 단기 대응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총 2043억 원의 예산을 투입, 내년부터 노후 상·하수관로 298㎞를 순차 정비한다.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대전시는 지반침하 원인을 신속하게 분석·복구하기 위해 인력풀 형식의 ‘지반침하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 지반침하 발생 때 상황에 따라 구청, 시청, 국토교통부 등과 각 유관기관과 연계해 신속한 구조·복구·원인조사까지 가능한 대응체계도 갖췄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반침하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위험 요소”라며 “보이지 않는 위험을 사전에 탐지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