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울진 산불 영향, 사전 투표 중단·한울원전 위협

주민 3900여명에 긴급 대피령

울진 산불 영향, 사전 투표 중단·한울원전 위협
4일 오전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289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확산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울진=김장욱 기자】 4일 오전 발생한 경북 울진군 두천리 산불로 대통령 선거 사전 투표가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울진군 선관위원회에 따르면 북면 한국수력원자력 사택에 마련된 사전투표소가 오후 1시 30분께부터 업무가 사실상 중단됐다. 이는 산불로 한전 시스템에 따라 북면에 있는 변전소 선로가 자동으로 정전됐기 때문이다. 또 주민 3900여명에게 긴급 대피령도 내려졌다.

울진 선관위는 정전 직후 바로 자체 발전기를 가동, 투표용지 인쇄 등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사전 투표소가 자리하고 있는 한수원 정문이 산불로 임시 폐쇄되면서 사전 투표소를 찾은 주민들이 발길을 돌려야 했다.

오후 4시 현재 북면지역 사전투표율은 19.59%다.

북면 사전 투표소 관계자는 "정전 2시간여 만인 오후 4시께 전기가 다시 들어왔다"면서 "사전 투표소에 대피 안내가 내려지면 투표함 등을 울진군 선관위로 신속하게 옮길 계획이다"고 말했다.

또 울진 산불이 강풍을 타고 급속도로 확산하자 주민 3900여명에게 긴급 대피령이 내려졌다.

경북도와 울진군 등에 따르면 산불이 처음 난 두천리를 비롯해 상당·하당리, 사계리, 소곡리 등 9개 마을 2215가구 주민 3900여명이 산불 현장과 떨어진 마을회관, 초등학교 등으로 대피했다.

울진군은 산불 발생 직후인 이날 낮 12시께 북면 4개 마을 주민들에게 인근 부구초등학교 주인 분교로 대피하라고 안내했다.

이어 오후 1시 30분을 전후해 북면과 죽변면 총 9개 마을로 대피 안내 대상을 확대했다.

현재까지 별다른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울진군 관계자는 "산불 진행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주민들에게 대피를 안내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특히 산불이 7번 국도를 넘어 해안가 한울원자력본부 방향으로 번지면서 원전 방어에 비상이 걸렸다.

도와 소방당국 등에 내륙에서 난 산불이 7번 국도를 넘어 해안 쪽으로까지 번졌고 한울원전 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울원전 울타리 등 주변에도 불씨가 날아들어 소방과 원전 자체 진화대가 불을 끈 것으로 알려졌다.

산불 최초 발화 지점과 7번 국도까지는 직선거리로 10㎞ 정도고, 7번 국도에서 한울원전까지 거리는 직선으로 1㎞ 정도다.

소방당국은 한울원전 측의 요청에 따라 중앙119구조본부 울산 119화학구조센터에 배치한 대용량방사포시스템을 현장에 출동시켰다.

소방청장도 경북소방본부장에게 원자력발전소 방어에 전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했다.

현재 한울원전에는 6기(한울 1∼6호기)의 원전이 운영 중이다. 또 신한울 1호기는 현재 시운전 중이고, 신한울 2호기는 운영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울진 산불은 강풍을 타고 확산하면서 소방청은 오후 1시 50분에 전국 소방동원령 1호를, 산림청은 오후 2시 15분에 산불 3단계를 발령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