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

재점화된 대형마트 공휴일 휴무 지정 논란…실제 미치는 영향은?

재점화된 대형마트 공휴일 휴무 지정 논란…실제 미치는 영향은?
28일 오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일요일 정상영업’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4.1.2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재점화된 대형마트 공휴일 휴무 지정 논란…실제 미치는 영향은?
서울 서초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2022.10.31/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최근 정치권이 대형마트에 대한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실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다만 업계에선 아직은 실현 가능성이 적고, 실현된다 해도 실질적인 타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혁신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8일 코스피 시장에서 롯데쇼핑은 7만 4400원에 마감했다. 최근 1년 내 최고점이었던 지난 9일(8만 3100원)보다 10.5% 하락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이마트 주가도 9만 600원에서 8만 2100원으로 9.4% 내리는 등 대형마트 업종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

이들 회사 주가는 현 정부 출범 이후 경기 회복 기대감에 상승했다. 하지만 지난 10일 더불어민주당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대두되자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급락세로 돌아섰다.

2013년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는 월 2회 공휴일에 쉬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다만 지방자치단체 재량에 따라 공휴일이 아닌 평일에 쉴 수도 있다. 지난해 오세희·송재봉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이 재량권을 없애고, 의무휴업일을 공휴일 중에서만 지정한다는 내용이다.

다만 민주당 내에서도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이 많은 만큼 여당이 적극적으로 추진하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실제로 민주당의 법안 추진 가능성이 보도되자 같은 당 전용기·장철민 의원은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대형마트 의무휴업 관련 공약은 하지 않았다.

업계에선 혹시나 의무휴업일이 공휴일로 지정된다 해도 실질적인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현재 이마트는 전체 점포 155개 중 40%(63개), 롯데마트는 111개 중 35%(39개)가 지자체와 협의에 따라 평일에 의무휴업을 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만약 이 점포들의 의무휴업일이 모두 일요일로 바뀔 경우 이마트는 기존 매출의 0.8%, 롯데마트는 0.6%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분은 연간 100억~200억 원이 될 것으로 추산한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말 영업 축소에 따른 주휴 수당 등 인건비 감소 영향 등을 고려하면 그 영향이 더욱 줄어들 것"이라며 "오히려 하반기에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홈플러스의 폐점 효과에 따른 낙수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9개 점포의 폐점이 확정됐으며, 최근 계약 해지를 통보한 점포(27개)까지 총 36개 점포가 폐점 가능성이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36개 점포가 모두 문을 닫을 경우 약 2조 원의 매출이 분산되고, 이 중 30%를 이마트·롯데마트가 흡수하면 이마트는 매출이 6%, 롯데마트는 11%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선 대형마트업계가 규제만 우려하기보다는 혁신을 일으키는 데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유통업계의 주도권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간 만큼, 공휴일 휴업과 관계없이 소비자들을 대형마트로 끌어올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계속 규제 이야기만 하면서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지금 어려운데 규제만 풀어달라고 하는 건 도전적인 모습이 아니다. 결국 기업이 혁신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