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백신개발 집중센터로 관심을 받고 있는 '정몽구 미래의학관'을 계기로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사진)이 그동안 기부해온 의료지원활동이 재조명되고 있다.
"국민 행복이 기업 존재 이유"라는 신념에 따른 정 명예회장의 꾸준한 '의료 지원'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실현된 대표적 사례라는 평가다.
24일 교육계와 의료계에 따르면 정 명예회장은 이번 백신 개발뿐 아니라 중추신경계 염증 질환과 관련한 연구도 지원하고 있으며,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들의 치료비 지원활동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현대차 정몽구재단을 통해 정 명예회장이 지난해부터 지원한 연세대의 중추신경계의료 연구의 경우, 뇌·척수 등 중추신경계 염증 질환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조기에 진단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고비용·난치성 질환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다.
희귀질환을 앓는 미래세대를 위한 의료 지원에도 나선 정 명예회장은 2012년부터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과 손잡고 저소득층 어린이들이 난치병으로부터 회복되도록 돕고 있다. 지금까지 총수혜인원만 3만7000여명에 달한다.
소아암을 비롯해 소아당뇨, 소아혈액질환 등으로 고통받는 어린이들이 수술 등 의료적 치료는 물론 미술치료, 놀이치료, 어린이학교 등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단순한 치료에서 벗어나 건강한 일상으로의 복귀 프로그램까지 가동하고 있다.
무엇보다 정 명예회장은 지난 2020년 확산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에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경제적 피해까지 커지자 정 명예회장은 백신과 치료제가 단순한 의약품이 아닌 인류에게 '희망'과 '일상'을 돌려준다는 사실을 절실히 깨달았다는 후문이다.
또 다른 감염병이 발생하기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에 대한 답으로 '백신 자립과 관련 연구 인프라 구축'이라고 결론 내린 정 명예회장은 백신혁신센터 설립에 사재 100억원을 기부하면서 힘을 보탰다.
이 같은 기부로 정몽구 미래의학관의 핵심시설인 백신혁신센터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 인플루엔자백신 및 국산 신종인플루엔자백신, 스카이코비원 승인 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면서 국제적으로도 최고 수준의 임상시험 능력을 갖추게 됐다.
백신개발뿐 아니라 코로나19 당시 정 명예회장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병원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서울아산병원에도 50억원을 기부했다. 지난 2013년 소외계층 진료를 위한 기부까지 합하면 총 60억원을 기부한 셈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