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유럽, 대규모 정전사태 부를 것”

에너지 정책이 바뀌지 않으면 유럽이 대규모 정전 사태에 부닥칠 수 있다고 에너지 기업들이 경고하고 나섰다. 오는 2020년까지 재생가능에너지 부문이 전체 에너지 공급의 20%를 담당토록 한다는 유럽연합(EU)의 정책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유럽 주요 에너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11일(현지시간) CNBC에 유럽의 에너지 정책이 불합리해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유럽 전역에 걸친 대규모 정전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EU가 재생가능에너지와 기술에 상당한 투자를 하도록 강요하고 있지만 회원국별로 규정이 다른데다 유럽차원의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 보조금 정책은 문제가 많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독일 전력업체 RWE의 페터 테리움 CEO는 "유럽에 조난신호(SOS0)를 보내고자 한다"면서 "이는 (에너지) 기업들, (에너지) 부문이 아닌 유럽 전체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테리움은 "유럽의 (에너지) 기반시설은 위험에 처해 있다"면서 유럽 경제가 회복되는 가운데 에너지 공급이 지금처럼 부적절한 상태에 머문다면 유럽은 정전 사태에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 에너지 업체들이 대륙 전역에 걸쳐 발전소들을 폐쇄하고 있다면서 "이는 기술적으로, 또 환경적으로 매우 효율적이기는 하지만 폐쇄는 현재 시스템으로는 이들 발전소를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탈리아 전력업체 에넬의 CEO 풀비오 콘티는 EU 규정이 업체들의 투자가 가능하도록 '교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콘티는 "유럽과 각 회원국 간 규정이 상충돼 소비자들에게는 가격 상승을 부르고, 업계에는 아무런 이윤도 가져다 주지 못한다"면서 "어떻게 봐도 이는 말이 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EU가 핵발전소 건설에 주던 보조금을 중단하고, 지역 석탄산업이나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보조금을 주는 것에도 반대했다.

콘티는 보조금으로 인해 EU 각국이 핵발전소를 포기하고, 대신 아직 기술이 무르익지 못한 부문과 신재생에너지로 돌아서고 있다면서 "보조금을 완전히 철폐해야 한다"고 말했다.

프랑스 에너지 기업 GDF 수에즈의 제라드 메스트랄레 회장 겸 CEO는 미국의 경우 셰일가스로 전력을 생산해 오염방출을 줄이고 있지만 유럽은 석탄에 보조금을 줘 오히려 탄소배출을 늘리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