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금융당국과 정책금융기관, 금융권으로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민감 정보가 많은 금융권의 특성상 '개인정보 유출' 등 위험성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초 행정안전부로부터 공문을 받고 내부 '딥시크 차단'을 결정했다. 금융위도 다른 공공기관처럼 '망분리' 규제가 적용돼 우려가 크지 않지만 외부망을 이용하는 인터넷PC에서 접속을 차단한 것이다. 향후 계속 차단할지 여부는 금융위 내부 수요 및 기관 상황을 보고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원을 포함해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산하 정책금융기관에도 딥시크의 보안상 우려 등 내용을 담은 공문을 발송했다.
금감원도 이날 오전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금감원은 직원들에게 개인적으로도 생성형AI에 개인정보와 민감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보안에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한국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도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 중이다. IBK기업은행 역시 내·외부망에서 딥시크 등 허가되지 않은 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했다.
은행과 보험사 등 금융권에서도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대개 금융사들은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해 사용한다. 내부망을 이용하면 원래 외부 사이트를 활용할 수 없다. 여기에 더해 직원들이 행내에서 외부망을 이용해 접속할 수 있는 경우까지 차단한 것이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외부망 연결 PC를 대상으로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딥시크 앱 다운로드 및 사이트 접속을 차단했다. 다만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는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은행도 지난 4일부터 딥시크를 차단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하나은행 내부망의 경우 딥시크 사용이 이전부터 원천 차단되어있는 상황이며, 2월 4일부터는 직원들이 사용하는 인터넷PC(외부망)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원천 차단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이날부터 딥시크를 제한했다. 사내 외부망은 물론 고객용 PC에서도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신한·NH농협은행은 애초 외부망에서 딥시크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들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카카오뱅크 PC에서는 다른 생성형 AI 툴 사용도 제한된다. 카카오뱅크는 정보보호 차원에서 '딥시크' 등의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부 툴은 정책상 이용할 수 없다.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보험사들도 대부분 내·외부망을 분리해 운영하고 있어 사내에서의 딥시크 사용이 불가능하다. 일부 흥국화재와 흥국생명, 매리츠화재 등은 딥시크 차단을 공지했다.
전날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는 부처 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또 카카오와 네이버 등 정보통신(IT) 업계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지양하거나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가 이뤄졌다.
딥시크는 저렴한 개발 비용 대비 뛰어난 성능을 보여 세계적 관심을 받았지만 중국의 검열 정책, 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된 상태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박문수 예병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