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제공
[파이낸셜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HMM 부산 이전 공약에 대해 HMM 육상노조가 "계획을 철회하라"며 강력 반발했다. 임직원과 가족 공동체의 안정성을 크게 훼손하고, 민간 기업의 경영 자율성을 침해했다는 지적이다. 강제 추진을 지속할 경우 강력 투쟁을 예고했다.
HMM 육상노조는 4일 'HMM 본사 부산 이전 추진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정성철 육상노조는 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은 노동자들을 설득해서 동의를 받되, 끝까지 안 하면 그냥 해야지 어떻게 하겠냐고 강조했다"며 "HMM 육상노동조합은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크게 훼손하는 정치 폭력을 당장 중단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의 지방 이전은 경영 효율성 및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검토돼야 할 사안"이라며 "대주주가 정부기관이라는 이유로 민간 기업을 강제로 이전하는 것은 수도권에 삶의 터전을 잡은 임직원과 그 가족 공동체의 안정성을 크게 훼손하고 민간기업의 경영 자율성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문제"라고 비판했다.
대주주인 정부기관이 하루빨리 공적자금을 회수해 그 자금을 필요한 기업에 지원하는 방향으로 기업을 살리라고도 촉구했다. 자원의 효율 배분으로 국가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우선 순위가 돼야 하지만, 권한을 남용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그는 "국민이 주권자라고, 본인을 그 도구로 써달라고 강조하는 대한민국 대통령 당선인이 소수의 국민을 탄압하는 정치를 한다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고, 이율배반적 언행이 아닐 수 없다"라며 "부산 강제 이전을 강력히 반대하며, 졸속 이전 추진 시 강력 투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이전 계획 철회를 주장했다.
노조는 이전 반대 이유로 △경영 효율성 저하 △핵심 인력 이탈 불가피 △구성원 권익 침해 △국내외 신뢰 저하 및 글로벌 해운동맹 협력에서의 소외 우려 △법적·정책적 기준과의 충돌 △권력 남용에 대한 우려 △공정 사회 실현을 위한 요청 등을 꼽았다.
대다수의 임직원이 수도권에 생활 기반을 두는 상황에서 강제 이전 추진은 인력 유출과 조직 불안정성을 초래한다는 주장이다. 더욱이 결혼과 육아, 노부모 돌봄 등 가정적 요인을 고려할 때 임직원 삶의 질과 생존에 직결되는 문제라고도 지적했다.
대외적으로도 해외 신인도 저하 등으로 글로벌 해운시장 얼라이언스 재편 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선대 및 항로 운영 계획을 멤버사들과 긴밀히 조율해야 해, 상호 방문이 용이하고 직항 노선이 다양한 서울에 본사를 두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지역 균형 발전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HMM 본사가 부산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편향적이고 비상식적인 논리라고 생각한다"라며 "HMM은 이미 부산 일선 현장에서 운항 및 항만과 관련된 필수 임직원들이 근무 중인만큼, 보여주기식 본사 이전 추진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본사 이전과 같은 중대한 결정은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이뤄져야 하고, 해운 전문가인 임직원들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