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권성동 "민주, 연금 소득대체율 핑계로 민생 논의 원천 봉쇄…43%안 수용해야"

권성동 "민주, 연금 소득대체율 핑계로 민생 논의 원천 봉쇄…43%안 수용해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1일 "제3차 국정협의회가 더불어민주당의 발목잡기로 인해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탓을 돌렸다. 연금개혁과 관련해서도 국민의힘이 제시한 소득대체율 43%안을 민주당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은 소득대체율을 핑계 삼아 민생 논의를 원천 봉쇄했다"며 이처림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형식적으로 잠시 자리만 채웠을 뿐, 정략적 이유로 민생을 내팽개쳤다"며 "내전 공포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는 밤샘 농성과 장외 집회를 서슴지 않으면서 국정협으회에 겨우 30분 만을 할애했다"고도 꼬집었다.

앞서 지난 10일 우원식 국회의장의 주재 하에 열린 여야 국정협의회는 시작한지 30분 만에 파행됐다. 연금개혁 논의 과정에서 여야가 서로를 향해 논의를 원점으로 돌렸다면서 추가 논의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권 원내대표는 "13일 (민주당이) 처리를 예고한 법안들을 봐도 위헌적 특검법들만 있을 뿐, 민생 법안은 하나도 없다"고도 꼬집었다.

특히 연금개혁 논의와 관련해 권 원내대표는 "원래 국민의힘 측 주장은 보험료율 13%에 자동안정장치 도입, 소득대체율 42%였지만 민주당이 자동안정장치를 도입하면 소득대체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며 못받겠다. 그래서 소득대체율을 43%에서 조정하자고 제안했다"면서도 "민주당이 여전히 44%를 고집하는 바람에 모든 논의가 수포로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지금이라도 민주당이 민생과 경제를 위하고 미래세대를 위한다면 불충분하지만 국민의힘이 제안한 조건을 수용하고 나머지 문제는 연금특별위원회를 구성해서 1년 시한으로 자동안정장치를 비롯해 다층 연금 제도를 논의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