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8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가 우리 측에 조선업·원자력발전·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첨단기술 경제협력 확대를 요청했다. 그러자 우리 정부는 미 정부가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경제협력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1일 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크리스토퍼 랜다우 신임 미 국무부 부장관의 첫 통화에서 오간 대화이다. 트럼프 정부가 오는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우리 측이 우려를 표하며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랜다우 부장관은 “조선, 원자력과 LNG 등 에너지, 첨단기술 등 한미 간 경제협력 확대를 위해 노력해나가자”고 제안했다.
그러자 김 차관은 “2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인해 양국 간 경제협력에 장애가 초래돼선 안 될 것”이라며 “양측 우려사항 해소 및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해법 마련을 지속 협의해나가자”고 역제안했다.
미 측이 원하는 조선업·원전·LNG 협력 의사는 있지만 상호관세 부담으로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짚은 것이다. 상호관세 발표 직후 미 측과 고위급 협의가 예정돼있어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오는 3일 벨기에 브뤠셀에서 개최되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이다.
또 김 차관은 “한미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지속 유지하는 가운데 북핵·미사일 대응 및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등 불법자금 차단을 위한 공조를 강화해나가길 기대한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과정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 군사협력도 즉시 중단돼야 하며, 북한의 (러시아 파병과 무기지원 등) 잘못된 행동에 대해 어떤 보상도 이뤄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랜다우 부장관은 “한미동맹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번영을 위한 핵심축”이라며 “북한을 포함한 역내 위협 대응을 위한 한미 간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